광주시, 국내 최대 '드라이빙 시뮬레이터' 본격 시동
첨단3지구 AI집적단지에 구축…자율주행 레벨4 지원
하반기부터 정식 서비스 개시…자율주행 시험무대 주도
- 박준배 기자
(광주=뉴스1) 박준배 기자 = 광주에 국내 최대 규모의 자율주행 드라이빙 시뮬레이터가 구축돼 차량 성능 검사와 개발에 필수적인 실증 역할을 주도한다.
4일 광주시에 따르면 첨단 3지구 인공지능(AI) 집적단지에 자율주행 기술 실증 지원 등 미래 차 산업 육성을 이끌 국내 최대 규모의 대형 운행(드라이빙) 모의실험 장치(시뮬레이터)를 구축했다.
'대형 드라이빙 시뮬레이터'는 운전자가 차량에 탑승한 상태로 다양한 실제 주행 상황을 가상 현실로 구현해 자율주행 기능을 개발·검증할 수 있는 필수 첨단장비다.
'AI 중심 산업융합 집적단지 조성'의 AI 실증기반 구축 사업의 하나로 총 77종의 실증 장비(자동차 25종, 헬스케어 26종, 에너지 26종) 가운데 1종이다.
이 장비는 '드라이빙 시뮬레이터'(DILs), '실제 차량 시뮬레이터'(VILs), '가상환경 생성 시뮬레이터'(SILs)로 구성돼 있다.
드라이빙 시뮬레이터는 는 승용차·트럭·셔틀 3대의 교환형 캐빈을 통해 다양한 차량의 성능과 안전성 평가‧검증이 가능하다.
이미 구축된 고사양 드라이빙 시뮬레이터, 연동 시뮬레이션 등을 통해 하나의 가상도로 환경에서 레벨4(Lv.4)의 다양한 자율주행 시나리오를 검증할 수 있다. 레벨4(Lv.4)는 특정 구간에서 제어권 전환 없이 운행이 가능한 자율주행을 말한다.
지난해 12월 AI 집적단지 실증동에 설치를 완료해 다음 달까지 운영 교육과 정밀 시운전 등 시스템 안정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가상환경에서 자율주행 플랫폼과 차량의 성능 검증을 지원, 자율주행 플랫폼 연구개발 활성화, 실차 기반의 테스트 안전성 제고, 비용 절감 등 효과가 있다.
미래 자동차 전장부품 개발, 성능평가, 라이다(Lidar) 등 주요 센서, 자율주행 알고리즘 등 기술과 제품·서비스 개발이 가능하다.
실제 차량 시뮬레이터는 리얼 센서 기반의 실제 차량을 실제와 유사한 도로 주행 환경을 구축해 차량과 도로 조건, 교통 시설물, 트래픽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장비다. AI 집적단지 실증동 건축 일정에 맞춰 올해 4월 이전 설치를 완료한다.
가상환경 생성 시뮬레이터는 가상환경에서 날씨(눈·비·안개 등)나 차량 종류 등 다양한 차량 주행환경을 생성하는 장비다. 실제 차량으로 하기 어려운 다양한 사고 시나리오를 테스트해 자율주행 알고리즘 검증이나 차량의 동역학 테스트 등 차량 개발 분야에 활용된다.
최태조 인공지능산업실장은 "대형 드라이빙 시뮬레이터 구축은 광주시가 미래 차 산업을 선도하고 AI 대표 도시로 발돋움하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라며 "자율주행차 개발을 위한 필수 기반 시설을 제공함으로써 기업과 기관이 혁신적인 기술을 개발하고 세계적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발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nofatejb@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