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파티카지노

광주시민회의 "광주공항 국제선 재취항…민군 공항 이전 논의 중단"

"광주공항 서남권 관문 국제공항, 무안 공항 물류 특화공항으로"

광주지역 시민모임인 '복합쇼핑몰 유치 광주시민회의'가 17일 광주시의회 1층 시민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광주공항 국제선 재취항'과 '민군 공항 통합 이전 논의 중단'을 촉구하고 있다.(광주시민회의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2025.2.17/뉴스1

(광주=뉴스1) 박준배 기자 =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이후 광주·전남 관광업계가 고사 위기에 처한 가운데 광주공항의 국제선 유치를 촉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광주지역 시민 모임인 '복합쇼핑몰 유치 광주시민회의'는 17일 광주시의회 1층 시민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광주공항 국제선 재취항'과 '민·군 공항 통합 이전 논의 중단'을 촉구했다.

광주시민회의는 "광주공항은 국제선 재취항을 통해 서남권 관문 국제공항으로, 무안공항은 물류 특화공항으로 발전해야 한다"며 "이것이 지역 발전과 시민 편의를 위한 최선의 대안"이라고 주장했다.

이들은 "광주·전남 시민은 국제선 운항 중단으로 인천·김해·청주공항까지 이동해야 하는 불편을 감수하고 있다"며 "광주공항이 국제공항으로 자리 잡아야만 서남권 항공 허브 기능을 회복하고 호남의 성장과 발전을 견인할 수 있다"고 말했다.

또 "국제선 재취항은 제주항공 참사 이후 고사 위기에 처한 지역 관광업계에도 도움이 된다"며 "광주의 주요 서비스 산업 중 하나인 관광업계를 진흥시키고 지역 경제를 살리는 데 국제선 재개는 꼭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무안공항은 여객 중심 공항으로 성장하기에는 한계가 분명한 만큼 물류 특화공항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했다.

이들은 "무안공항은 낮은 접근성과 부족한 교통 인프라, 대형 항공사의 철수로 여객 수요 확보가 어렵다"며 "제주항공 참사 이후 신뢰도 하락으로 항공사들의 취항 기피가 심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현재 인천공항의 화물 과부하를 고려하면 무안공항이 중·단거리 화물 허브로 기능을 분담해 국가 물류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며 "인천공항의 연간 화물 물량 중 단 3만 톤만 무안공항으로 이관해도 무안공항은 국내 2위 화물공항으로 성장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들은 국토부 제7차 공항개발 종합계획(2026년 예정)에 무안공항을 '화물 특화 공항'으로 명시하는 정책적 조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광주시민회의는 비현실적인 민·군공항 통합 이전 논의를 중단하고 군공항 소음 저감과 개발 제한 해소 대책 마련을 요구했다.

이들은 "무안군과 지역 주민들은 군 공항 이전을 결사반대하고 이로 인해 지역 간 갈등이 심각하게 확대되고 있다"며 "군 공항을 억지로 무안공항으로 밀어 넣는 방식은 광주·전남의 단합을 해치는 분열적인 정책일 뿐"이라고 말했다.

이어 "군 공항 이전이 결정되더라도 최종 이전까지 최소 10년 이상의 대규모 사업이 필요하다"며 "광주시와 국방부는 군 공항 이전 논의만 바라보지 말고, 당장 실질적인 대책부터 시행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실질적인 방안으로 '대구·사천·군산 등 타 군공항과의 훈련 통합·비행시간 대폭 축소, 소음 보상비 대폭 상향, 피해 지역 확대, 개발 제한 해소, 군 공항 주변 시민 위한 녹지 공간 조성 등을 제안했다.

nofatejb@dqdt.shop

바오슬롯 프리미어카지노 소닉카지노 산타카지노 토르카지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