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파티카지노

'尹 파면' 조기대선 개봉박두…여야 잠룡, 광주와 5·18 발언 보니

이재명 민주당 대표 "5·18 정신 헌법 수록 추진"
홍준표 대구시장 "유공자 명단 공개가 우선"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18일 광주 북구 5.18민주묘역을 찾아 헌화 분향후 기자들에게 브리핑을 하고 있다. 2025.3.18/뉴스1 ⓒ News1 김태성 기자

(광주=뉴스1) 이수민 기자 = 헌법재판소가 4일 윤석열 대통령 파면을 선고하면서 정치권은 다음 대통령 선출을 위한 대선일정에 들어갔다. 이 때문에 과거 광주를 찾았던 여야 대선주자들의 광주 발언이 새삼 주목받고 있다.

이재명 민주당 대표 "5·18 정신의 헌법 수록 추진"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가장 최근 광주를 방문한 건 지난달 18일이다. 당시 이 대표는 윤석열 대통령 탄핵 촉구 피켓시위를 하다 쓰러져 숨진 60대 당원의 빈소를 찾아 애도했다.

이때도 국립 5·18민주묘지를 찾아 참배했는데, 전(前) 대통령 전두환 씨의 군사쿠데타를 예시 삼으며 윤석열 내란의 조속한 파면을 촉구했다.

이 전에는 지난해 5·18 민주화운동 44주기를 맞아 지난해 5월 18일 민주묘지를 찾았다. 이때 이 대표는 "5·18 정신의 헌법 전문 수록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당시 이 대표는 자신의 페이스북에 "역사의 법정에 시효란 없고 온전한 진상규명만큼 완전한 치유는 없다"며 "민주당은 5·18의 진상을 낱낱이 밝히는 데 앞장서고 국가폭력 범죄는 반드시 단죄 받는다는 상식과 원칙을 바로 세우겠다"고 말했다.

그는 "더 이상의 5·18 폄훼와 왜곡이 발붙이지 못하도록 '5·18 정신 헌법 전문 수록' 또한 흔들림 없이 추진하겠다. 그래야 다시 이 땅에서 비극의 역사가 반복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홍준표 대구시장 "헌법 수록 무방…BUT 명단 공개"

홍준표 대구시장은 지난해 5월 17일 국립 5·18민주묘지를 찾아 "오월정신이 헌법전문에 수록돼도 무방하다고 본다"고 긍정적 뜻을 비치면서도 "유공자 명단은 공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의 5·18민주묘지 참배는 2017년과 2021년에 이어 세번째였다. 이전과 마찬가지로 방명록에는 충성을 다해 나라의 은혜에 보답한다는 뜻의 '진충보국(盡忠報國)'을 적었다.

당시 홍 시장은 "우리나라 헌법은 일제에 항거했던 3·1운동과 이승만 독재에 항거했던 4·19가 적혀 있다. 5·18도 똑같은 선상에서 군부독재에 항거했던 기념비적인 운동이기 때문에 헌법 전문에 들어가도 무방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다만 5·18유공자의 '명단 공개' 문제에 대해서는 "5·18유공자들이 '국가 유공자' 승격을 요구하고 있는데 대한민국 국가 유공자 중 명단이 비공개된 단체는 없다"면서 "5·18희생정신을 기리는 대한민국에서 왜 명단을 비공개하냐. 공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명단을 공개하라는 뜻을 왜곡해서 5·18정신을 훼손한다고 하지 마라. 죄지은 게 아니고 나라를 위해서 몸을 바쳐 희생을 했는데 왜 비공개해야 하냐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강기정 광주시장과 홍준표 대구시장이 제44주년 5·18민주화운동 기념식을 하루 앞둔 지난해 5월17일 오전 북구 운정동 국립5·18민주묘지를 찾아 참배한 뒤 민주의문에서 취재진과 질의응답을 하고 있다.(광주시 제공)2024.5.17/뉴스1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 "절차상의 문제"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신분으로 광주를 찾았던 한동훈 전 대표는 지난해 1월 4일 "헌법 전문에 5·18 정신을 수록하는 것에 대해 적극적으로 찬성한다"고 밝혔다.

그는 참배 후 "5월의 광주 정신은 어려운 상황에서 민주주의를 지키는 정신으로 지금 대한민국의 헌법 정신과 정확히 일치한다고 생각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어 "저는 (헌법 수록을) 그냥 찬성한다기보다 5·18 정신이 (헌법에) 들어가면 우리 헌법이 훨씬 더 풍성해지고 선명해지며, 더 자랑스러워질 것 같다"고 말했다.

또 "(헌법 수록) 방식을 어떻게 할 것인지에 대해 당 차원에서 잘 논의하겠다"며 "그 입장(헌법 수록)은 저희 당의 그동안 입장과도 다르지 않다"고 강조했다.

다만 5·18 정신의 헌법 수록을 위한 원포인트 개헌 여부에 대해선 "국민투표 등 그렇게 쉬운 것이 아니다"라며 "지금 여러 논의가 있는 상황인데 여러 정치 세력이 그 부분에 대한 합의를 한 숙제는 이루진 것으로 생각한다"고 답했다.

김부겸 전 총리 80년생 청년과 함께 "국정 안정 우선"

야권의 대권주자로 거론되는 김부겸 전 국무총리는 지난 2월 7일 광주 5·18민주묘지를 참배했다.

문재인 정부에서 국무총리를 지낸 김 전 총리는 1980년 5월생의 광주 청년 4명과 함께 오월영령을 기렸다.

김 전 총리는 참배에 앞서 방명록에 '다시 영령들 앞에서 분열과 갈등을 넘어 통합과 공존과 전진의 대한민국으로 가는 길에 혼신의 힘을 다하겠습니다'라고 적었다.

그는 참배 후 언론과 만나 광주 5·18에 대한 메시지 대신 국정 안정에 대한 메시지를 전했다.

김 전 총리는 "지금 갈등상황이 워낙 심각하다. (국민께서)'탄핵이 제대로 되긴 되는 거냐'는 우려감을 갖고 계신다"며 "헌법과 법률에 따라서 정리할 것이라는 확신이 든다. (앞으로)국정 안정 측면으로 행보하겠다"고 밝혔다.

김부겸 전 국무총리가 7일 광주 북구 국립 5·18민주묘지 참배에 앞서 인터뷰하고 있다. 2025.2.7/뉴스1 ⓒ News1 이수민 기자

김동연 경기지사 "광주 정신으로 내란 막아야"

차기 대선주자 중 한 명으로 거론되는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2월 13일 정권 교체 필요성과 개헌을 강조하며 지지를 요청했다.

김동연 지사는 계엄과 내란 재발 방지를 위해서는 개헌을 통한 제7공화국을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87년 체제는 시효를 다했다. 정권교체를 넘어 개헌을 통해 45년 전 5·18민주화운동을 촉발한 광주정신을 헌법 전문에 포함시켜야 한다"고 했다.

breath@dqdt.shop

바오슬롯 프리미어카지노 소닉카지노 산타카지노 토르카지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