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파티카지노

'더현대 광주' 연간 방문객 3000만명…"소상공인에도 기회"

광주시 '복합쇼핑몰 상권영향평가' 연구용역 중간보고회
커피·제과 제외 모든 업종서 매출액 증가 등 긍정 영향

고광완 광주시 행정부시장이 14일 오후 시청 중회의실에서 열린 복합쇼핑몰 상권영향평가 연구용역 중간보고회에 참석해 건의사항과 의견수렴을 하고 있다.(광주시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광주=뉴스1) 박준배 기자 = 광주에 들어서는 복합쇼핑몰이 소상공인에게도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분석이 나왔다.

광주시는 14일 시청 중회의실에서 '복합쇼핑몰 상권 영향평가 연구용역 중간 보고회'를 열어 연구 결과를 공유하고 앞으로 연구 방향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보고회에는 고광완 행정부시장과 5개 자치구 부구청장 등 관계 공무원, 소상공인연합회, 상인연합회, 시민 등 30여 명이 참석했다.

중간보고는 연구용역을 수행한 조춘한 경기과학기술대학교 교수가 진행했다.

조 교수는 △최근 5년간 광주시 업종별 매출액과 이용 고객 분석 △대전·대구 등 타지역 대규모 점포 입점에 따른 상권 영향 사례 조사 △대규모 점포(1차 더현대 광주) 입점이 광주시 상권에 미치는 영향 등을 보고했다.

연구 결과, 광주시 상권은 전반적으로 외부고객의 유입이 낮은 내수형 상권으로 지역 내 인구가 감소할 경우 상권도 같이 쇠퇴할 것으로 분석됐다. 2024년 기준 광주시내 점포 이용객은 광주시민이 81%, 타 지역민이 19%였다.

대전·대구 등 타지역 복합쇼핑몰이 해당 지역 상권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화장품과 커피·제과를 제외한 전 업종에서 매출액이 상승했고, 타지역민 이용 비중도 40%에 이른 것으로 조사됐다.

이를 광주시 여건에 접목하면 '더현대 광주' 반경 5㎞에서는 화장품 업종을 제외한 슈퍼마켓, 음식점, 의류·패션·잡화, 커피·제과, 가전·가구·생활잡화 업종에서 긍정적인 영향이 나타났다.

광주시 전체적으로는 커피·제과 업종을 제외한 대부분 업종에서 긍정적인 영향이 예상됐고 피해가 우려되는 업종을 중심으로 특례 보증 확대 등 다양한 상생 방안이 함께 제시됐다.

'더현대 광주'의 연간 방문객 수는 3000만 명이며 이 중 주변 점포 동시 이용객은 1900만 명으로 추산됐다. 시설 투자 1조 2000억 원, 생산 유발효과 2조 3640억 원, 부가가치 유발효과 9996억 원, 취업 유발효과 1만 2600명 등 경제효과를 거둘 것으로 전망됐다.

신세계백화점 확장, 스타필드 광주 등 3개 대규모점포 출점에 따른 경제적 파급효과는 37조 6221억 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했다.

시설 투자(6조 9466억 원)에 따른 생산 유발효과는 13조 6848억 원, 부가가치 유발효과 5조 7865억 원, 취업 유발효과 7만 2939명으로 추정했다.

대규모 점포 운영에 따른 연간 파급효과는 생산 유발효과 5조 7238억 원, 부가가치 유발효과 2조 5100억 원, 취업 유발효과 4만 6933명으로 분석됐다.

조 교수는 신세계백화점 확장, 스타필드 광주 입점 등이 광주지역 상권에 미치는 영향을 추가 분석하고 거리별(3㎞, 5㎞, 10㎞), 업종별로 보다 구체화할 계획이다.

nofatejb@dqdt.shop

바오슬롯 프리미어카지노 소닉카지노 산타카지노 토르카지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