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바지락 생산량 137톤→35톤 급감…고수온 피해
기후특화 신품종 개발·어장환경 개선 등 고수온 대책 추진
- 최대호 기자
(수원=뉴스1) 최대호 기자 = 바다 고수온 현상으로 지난해 경기지역 바지락 생산량이 평년에 비해 75%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경기도에 따르면 서해 표층 수온은 지난 55년간 평균 1.19도 상승했다. 지난해 여름 경기도 해역은 8월 말부터 11월 초까지 평년보다 2.1~3도 높았으며, 일부 해역에서는 28.8도까지 상승하기도 했다.
이에 따라 지난해 8월 16일부터 9월 25일까지 총 41일간 경기 해역에 고수온 특보 발령 이후 10월부터 올해 2월까지 경기 패류 생산량은 543톤으로, 최근 5년 평균(763톤) 대비 약 29% 감소했다. 특히, 주요 소득품종인 바지락 생산량은 35톤으로 5년 평균(137톤) 대비 약 75% 급감했다.
바지락은 여름철 수온 30도 이상에서 9일 이상 지속되거나, 일교차가 10도 이상인 날이 11일 이상 지속되면 폐사 위험이 급격히 증가하는 등 기후변화에 취약한 품종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도는 고수온으로 인한 바지락 등 패류 폐사 피해를 줄이기 위해 고수온에 강한 신품종 개발, 패류어장 환경개선 등 기후변화 대응에 나서기로 했다.
우선 우럭조개, 새조개 등 고수온 내성이 강하고 경제성 있는 신품종 개발을 추진하기로 했다.
또 패류 생존율을 높이기 위해 어장경운, 모래살포 등 어장환경 개선에 총사업비의 30%를 반드시 사용하도록 지침을 개정해 현장중심의 기후변화에 대응한다.
어장경운을 통해 어장 바닥의 흙덩이를 작게 부수고 평평하게 한 뒤 모래를 살포하면 바지락이 잘 자랄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된다.
도는 2018년부터 해면 갯벌어장 지원사업을 통해 바지락, 동죽 등 도내 주요 생산품종은 물론, 새꼬막, 가무락과 같은 고소득 품종을 화성, 안산 주요 어장에 지속 살포하고 있다. 최근 3년간 패류 종자 살포량은 1618톤(새꼬막 1025톤, 바지락 571톤, 동죽 20톤, 가무락 2톤)에 이른다. 지난해에는 새조개 인공종자 생산기술을 개발해 새조개 1만 마리를 화성시 도리도 인근 해역에 방류했다.
김종배 해양수산과장은 "기후변화 대응은 우리의 최대 당면 과제로 경기도는 바지락 등 패류 자원 회복에 그치지 않고 지속 가능한 경기바다 조성을 목표로 어업인들과의 소통을 강화할 것"이라며 "앞으로도 고수온 대응 시책을 추진해 어업인의 안정적인 소득 기반 마련에 힘쓰겠다"고 말했다.
sun0701@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