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파티카지노

인천 송도 국제병원 부지, 투자 유치 난항…해결책은?

용도 완화·세제 혜택·금융 지원 확대 필요
인천경제청, 해외 병원과 합작 모델 검토

인천 송도 국제병원 부지(인천경제자유구역청 제공) / 뉴스1 ⓒ News1 정진욱 기자

(인천=뉴스1) 정진욱 기자 = 인천 송도국제도시 국제병원 부지가 20년 넘게 방치된 채 투자 유치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가 지정한 '국제병원부지'로 한정돼 있고, 대규모 종합병원을 건립 초기 투자비 부담이 크다는 이유로 국내외 병원 투자자들이 쉽게 나서지 못하고 있다.

24일 인천경제자유구역청에 따르면 해당 부지는 8만719㎡(약 2만4000평) 규모로, 300병상 이상의 병원과 R&D센터, 부대시설을 유치해야 한다. 과거 뉴욕장로병원, 존스홉킨스병원, 삼성물산 컨소시엄, 한진그룹 등이 투자 논의를 진행했으나 번번이 무산됐다.

앞서 인천경제자유구역청과 차병원·바이오그룹은 2023년 9월 글로벌 특화병원 유치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송도 1공구에 난임 치료, 항노화, 세포치료 분야에 특화된 병원을 조성하기로 했지만, 사업 계획이 지연되면서 1년 5개월이 지나도록 본계약 체결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

차병원 측은 지난해 12월 사업 계획안을 제출했으나, 지구단위계획 기준을 충족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해당 부지는 건폐율 70% 이하, 용적률 250% 이하, 300병상 이상의 종합의료시설로 지정되어 있어 조정이 필요하다.

인천경제청은 올해 상반기 안으로 사업 계획 검토를 마무리하고, 수도권 병상 규제 완화를 위한 중앙 부처 협의를 추진할 계획이다.

송도 국제병원 부지 투자 유치 해결 방법은?

송도 국제병원 부지의 투자 유치를 촉진하려면 용도를 완화해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현재 외국 의료기관과 국내 종합의료시설로만 사용할 수 있지만, 의료복합단지, 바이오 연구소, 헬스케어 기업 등이 함께 입주할 수 있도록 조정하면 투자 매력이 높아진다는 게 인천경제청의 설명이다.

전문가들은 정부와 지자체, 그리고 공공과 민간이 협력해 초기 투자 부담을 줄여야 한다고 말한다. 또 병원 R&D 허브로 지정해 국책사업을 유치하고, 민관 협력(PPP) 모델을 도입해 정부가 일부 자금을 지원하는 방안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부연했다.

인천 송도 국제병원 부지(인천경제자유구역청 제공) / 뉴스1 ⓒ News1 정진욱 기자

인천경제청은 세제 혜택과 금융 지원 확대도 필요하다고 밝혔다.

인천경제청은 법인세 감면, 토지 임대료 인하, 장기 저리 대출 등을 제공하면 투자 유치가 보다 원활해질 것이고, 초기 시설 투자비용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정부 지원도 필요하다고 밝혔다.

인천경제청은 해외 병원과의 합작 모델도 검토하고 있다. 국내 대형 병원과 해외 유명 병원이 협력해 운영하면 투자 부담을 효과적으로 분산할 수 있어서다.

인천경제청 관계자는 "현실적인 투자 유치 방안을 마련하지 않으면 개발 지연이 장기화할 가능성이 크다"며 "조속한 제도 개선과 인센티브 확대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onething@dqdt.shop

바오슬롯 프리미어카지노 소닉카지노 산타카지노 토르카지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