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파티카지노

"5월 정신으로 민주주의 회복해야"…5·18 첫 희생자 이세종 열사 추모식

전북대에서 45주기 추모식 개최

제45주년 5·18 민중항쟁 전북기념식 및 이세종 열사 추모식이 열린 17일 전북 전주시 전북대학교 이세종 광장에서 참석자들이 헌화를 하고 있다. 2025.5.17/뉴스1 ⓒ News1 유경석 기자

(전주=뉴스1) 임충식 신준수 기자 = "5·18은 대한민국 주권이 누구에게 있는지 시민들이 보여준 날입니다. 5월 정신으로 다시 민주주의를 회복해야 합니다."

제45주년 5·18 민주화운동 기념일을 하루 앞둔 17일 전북대학교에서 고(故) 이세종 열사 추모식이 개최됐다.

'아 오월, 다시 만난 오월'이라는 주제로 열린 이날 추모식에는 '제45주년 5·18민중항쟁기념 전북행사위원회'와 '전북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등 시민단체 관계자 100여명이 참석했다. 서거석 전북교육감과 우범기 전주시장, 전북도의원, 전주시의원 등도 함께 했다.

참석자들은 이날 엄숙하고 차분한 분위기 속에서 고인의 거룩한 희생을 기리고, 5·18 정신을 되새겼다.

심영배 공동위원장은 "5·18 첫 번째 희생자인 이세종 열사를 비롯한 수많은 열사의 희생이 있었기에 우리가 지금 여기에 있을 수 있다"면서 "자신을 내어주면서까지 정의와 자유를 지키려했던 분들의 뜻을 이어나가야 한다. 5월의 정신으로 대한민국의 민주주의를 다시 회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서거석 교육감은 "지난 12·3 계엄을 이겨낸 국민들을 보면서 1980년 이후 45년간 성장한 위대한 시민들의 저력을 봤다"며 "한강 작가의 말처럼 이제는 산 자들이 먼저 가신 이들을 위해서 보듬고 살펴야 할 시간이다. 우리 모두 서로 배려하고 도우며 성숙하게 연대하는 시민사회를 구축해야 한다"고 말했다.

구민기 전북대 총학생회장은 추모사를 통해 "자유는 스스로 지키는 것이고 민주주의는 행동으로 증명해야 된다고 생각한다"며 "이세종 열사의 뜻을 기억하며 앞으로도 더욱 학생들과 함께 그 이름을 부끄럽지 않게 살아가도록 노력하겠다"고 했다.

제45주년 5·18 민중항쟁 전북기념식 및 이세종 열사 추모식이 열린 17일 전북 전주시 전북대학교 이세종 광장에서 참석자들이 헌화를 하고 있다. ⓒ News1 유경석 기자

이세종 열사는 전북대 농학과 2학년에 재학 중이던 1980년 5월 17일 학생회관에서 동료들과 '비상계엄 철폐 및 전두환 퇴진'을 요구하며 밤샘 농성을 벌이다가 교내에 진입한 비상계엄군에 쫓겨 옥상으로 올라갔다. 그리고 이튿날 새벽 6시께 학생회관 옆 길 바닥에서 온몸이 피투성이가 된 채 발견됐다.

당시 경찰은 단순 추락사라고 발표했다. 하지만 주검을 검안했던 이동근 교수는 추락 전 계엄군의 집단 폭행이 있었을 가능성을 제기했다. 이민규 순천향대 교수도 2002년 학술세미나에서 "5·18 최초의 희생자는 이세종"이라고 밝힌 바 있다.

하지만 첫 희생자로 공식 인정받기까지는 무려 44년이라는 시간이 걸렸다. 5·18민주화운동진상규명조사위원회는 지난해 3월 활동을 마무리하면서 이세종 열사가 최초 희생자임을 공식 인정했고, 희생자 166명을 사망일자 순으로 나열한 보고서의 맨 위에도 '이세종'이란 이름이 올랐다.

한편 '제45주년 5·18민중항쟁기념 전북행사위원회'는 23일 학술제와 함께 31일까지 이세종 광장에서 사진전을 개최한다. 전북대기록·역사관과 전북대박물관도 31일까지 전북대박물관 1층 중앙홀에서 '故 이세종 열사 추모전'을 개최한다.

94chung@dqdt.shop

바오슬롯 프리미어카지노 소닉카지노 산타카지노 토르카지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