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아기, 9년 연속 줄었다…결혼 500만원 부랴부랴 지원
출생아 2016년 1만 58명 → 작년 6600명
시·군들, 출산·결혼·자녀양육 지원 규모 확대
- 신관호 기자
(강원=뉴스1) 신관호 기자 = 강원의 연간 출생아수가 작년까지 9년 연속 감소한 수치를 기록하며 지방소멸 위기가 고조되고 있다. 도내 주요 시‧군은 출산과 자녀양육, 결혼을 비롯한 지원 방안을 강화하고 있다.
9일 통계청에 따르면 작년 기준 도내 연간 출생아는 6600명으로 잠정 집계됐다. 2015년 이후 9년간 연간 출생아가 연속 감소한 기록이다. 2014년 1만 662명에서 2015년 1만 929명으로 늘어난 후 2016년엔 1만 58명으로 줄었는데, 이를 기점으로 해마다 감소한 것이다.
특히 2017년 들어 8958명을 기록, 9000명 선 밑으로 급감했다. 이어 2018년 8351명, 2019년 8283명 등 3년간 8000명 선이었다. 이후엔 2020년 7835명, 2021년 7357명, 2022년 7278명 등 7000명 선을 이어오다 2023년 6688명으로 줄었고, 작년에도 비슷했다.
이 같은 상황에서 도내 주요 시‧군들이 출산과 결혼을 비롯한 각종 지원 대책을 확대해 추진하고 있다.
정선군은 내년부터 결혼장려금을 주기 위해 올해 준비에 나선 상황이다. 이는 혼인신고일 1년 전부터 정선에 주민등록을 둔 20~45세의 초혼 부부에게 3년에 걸쳐 500만 원(지역화폐)을 나눠 주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군은 지난달 보건복지부와 사회보장제도 신설 협의를 완료했다.
또 군은 올해 아이 돌봄 지원도 확대하기로 했다. 특히 맞벌이 가정과 한부모가정을 포함해 양육공백 발생가정에 대해 아이돌봄 서비스 본인부담을 최대한 전액 지원하는 내용이 있다.
화천군도 올해 신혼부부 결혼지원금을 신설했다. 대상은 부부가 화천에 주민등록을 두면서 혼인 신고한 경우로서, 세대별 지원금은 150만 원이다.
양구군도 올해 처음으로 '청년 1인 자영업자 맞춤형 출산·육아 지원 사업'을 한다. 양구에 1년 이상 주소를 두고 영업 중인 49세 이하 1인 자영업자가 출산으로 인해 휴업(배우자 출산에 따른 휴업도 포함)하면 임차료와 공과금, 관리비 등을 최대 6개월간 300만 원까지 지원한다.
원주시는 올해 다자녀 가정 대학등록금 지원과 어린이집 특별활동비 지원 사업을 확대한다고 밝혔다. 대학등록금의 경우 다자녀 기준을 둘째 아이 이상으로 정했고, 어린이집 특별활동비의 경우 지원 대상을 기존 3~5세에서 2세 영아까지 확대했다.
태백시는 오는 9월부터 전문간호사가 임산부와 만 2세 미만 영아가정을 찾아 건강관리와 육아지원을 제공하는 생애초기 건강관리 사업을 국‧도비로 추진한다. 시는 보건복지부 공모사업 선정으로 시내 출산가정 지원규모가 커졌다고 설명했다.
이 밖에 도내 다른 시‧군들도 각종 지원 사업규모를 넓히며 지방소멸 대응에 사활을 걸고 있다. 도내 주요 시‧군 관계자들은 "주요 도시들마다 아이 키우기 좋은 도시를 구호로 내걸며 저출산 대응에 나서고 있다"며 "생애주기별로 구분해 각종 지원 사업을 펴는데, 주민이 체감하는 대책이 되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skh881209@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