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 교사 10명 중 4명 "최근 3년내 교권 침해 경험"
전교조 강원지부 '2025 강원 교권 실태 조사 결과' 발표
- 한귀섭 기자
(춘천=뉴스1) 한귀섭 기자 = 강원지역 교사 10명 중 4명이 최근 3년 이내 교권 침해를 경험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 강원지부는 14일 도교육청 브리핑룸에서 '2025 강원 교권 실태 조사 분석 및 정책 제안'에 관한 회견을 열어 이같이 밝혔다.
전교조에 따르면 해당 설문조사는 지난달 21일부터 이달 7일까지 온라인을 통해 진행됐다. 대상은 도내 교원, 응답자는 총 1359명이다. 강원지역 전체 교원은 약 1만 2000명이다.
조사 결과를 보면 '최근 3년 내 교권 침해 경험이 있냐'는 질문에 응답자의 43.64%가 '있다'고 답했다. 경험한 교권 침해 유형(중복응답 가능)은 '비난·욕설'이 52.78%로 가장 많았다. 이어 '지속적인 수업 방해'(42.16%), '반복적 부당 요구'(39.97%), '폭언'(36.09%), '명예훼손'(23.61%) 순이었다.
'최근 3년 내 갑질(직장 내 괴롭힘) 경험이 있냐'는 질문엔 응답자의 28.04%가 '있다'고 답했다. 경험한 갑질(직장 내 괴롭힘) 유형(중복응답 가능)은 '폭언·모욕'이 40.16%로 가장 많았다. 이어 '복무 관련'(33.33%), '부당한 업무 지시'(31.23%), '책임 전가'(28.35%) 순이었다.
강원도교육청의 교권보호정책에 대해선 응답자의 53.95%가 '대체로 불만족'하다고 답했다. 특히 19.72%는 '매우 불만족'하다고 답한 것으로 집계됐다.
전교조 강원지부는 "이번 조사를 통해 교권 침해는 보호자와 학생으로부터, 갑질은 관리자에게서 비롯된다는 점이 분명히 확인됐다"며 "교육활동과 아동학대의 경계가 불명확한 현실은 교사를 매울 위축된 상태로 교실에 서게 만든다"고 지적했다.
전교조는 "도교육청의 교권보호정책에 대한 인식과 만족도는 낮아 교원 보호 체계가 형식적으로 드러날 뿐 실질적으로는 작동하지 않는다는 점이 분명히 드러났다"며 "방관과 회피로 일관해 온 교육청과 관리자에게 실질적인 정책 전환을 강력히 요구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학교장이 책임지는 실질적 교권 연수 실시, 교권보호위원회 평교사 확대, 악성 민원 등 교육청 직접 대응, 갑질 관리자 강력 처벌 등을 요구했다.
이에 대해 도교육청은 "현재 시행되는 다양한 교육활동 보호 지원 사업을 알지 못해 보호받지 못하는 선생님이 없도록 적극적인 홍보와 안내부터 강화하겠다"며 "여러 소통 창구를 통해 현장 목소리를 듣고 선생님들께 실질적 도움이 되는 지원 방안을 찾아 보완해 가겠다"는 입장을 내놨다.
han123@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