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수위 없이 임기 시작…행안부, 21대 대통령 취임식 준비 속도
식순, 초청인원 간소화 한 문 전 대통령 선례 참고
"사실상 하루 만에 준비 작업 마무리 상황 올수도"
- 이비슬 기자
(서울=뉴스1) 이비슬 기자 = 행정안전부가 21대 대통령 취임식 준비에 속도를 내고 있다. 차기 대통령은 전임 대통령 탄핵에 따라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없이 곧바로 임기를 시작하는 만큼 이번 취임식 역시 문재인 전 대통령 당시와 같이 간소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25일 행안부에 따르면 정부 의전 행사 등을 주관하는 의정관실은 21대 대선을 39일 앞두고 취임식 세부 계획 검토를 진행 중이다.
행안부 관계자는 "제21대 대통령 취임행사는 당선 즉시 임기를 시작하는 특수성과 인수위 조직이 없는 점을 감안해 과거 선례를 참고해 준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대통령 당선인은 취임을 위해 '대통령 인수에 관한 법률'에 따른 인수위원회를 가동하고 국정 과제와 정부 조직 개편과 같은 새 정부 청사진을 구상하게 된다.
박근혜 전 대통령은 2012년 12월 19일 당선 후 2013년 2월 25일 취임식을, 윤석열 전 대통령은 2022년 3월 9일 당선 후 2022년 5월 10일 취임식을 하기 전까지 인수위를 가동했다.
그러나 21대 대통령 당선인은 윤 전 대통령 탄핵으로 인한 국정 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해 인수위를 구성하지 않고 당선 확정 직후 곧바로 임기를 시작할 것으로 예상된다.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이후 2017년 5월 9일 '장미대선'을 치르고 당선된 문재인 전 대통령도 인수위 설치 없이 바로 다음 날인 5월 10일 제19대 대통령에 취임했다.
대통령 취임식에는 전·현직 대통령과 정관계 인사·해외 귀빈·국민 등을 초청하는데, 이 초청자 명단을 확정하는 일 또한 행안부 소관 업무다.
그간 취임식 초청자 명단은 인수위원회 추천을 받거나 협의를 거쳐 확정해 왔다. 그러나 행안부는 인수위 없이 임기를 개시할 이번 당선인 특성을 고려해 5부 요인이나 각 정당 대표와 같이 정무적 편향성이 없는 인사 위주의 초청 준비를 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 밖에 후보 측에서 초청 명단을 사전에 준비하는 방안도 거론된다. 또 다른 행안부 관계자는 "특정 후보 당선을 가정해 취임식 준비를 미리 할 수는 없다"며 "사실상 하루 만에 취임식 준비 작업을 마무리해야 하는 상황이 올 수도 있다"고 말했다.
행안부는 통상 새 대통령 취임식 행사를 위해 차관을 단장으로 하는 '대통령 취임행사 실무추진단'을 꾸리고 취임식 실무 인력과 예산을 집행하는 역할을 한다.
이번 21대 대통령 취임식의 경우 과거 한 차례 대통령 탄핵과 그에 따른 조기 대선 선례를 토대로 식순과 규모도 간소화할 계획인 것으로 전해졌다.
박 전 대통령 탄핵 후 당선된 문 전 대통령 취임식은 취임선서와 취임사 위주로 식순을 대폭 간소화했다. 보신각 타종행사 및 군악·의장대 행진과 예포 발사, 축하공연, 대형 무대 설비 설치 등을 생략하고 지정석도 따로 마련하지 않았다.
당시 국회 로텐더홀 내에서 열린 취임식 초청 인원은 약 300명으로 △노무현(4만 8500명) △이명박(6만 405명) △박근혜(7만 366명) △윤석열(4만 1000명)에 비해 현저히 적었다.
21대 대통령 취임식 장소는 과거 관례에 따를 가능성이 높다. 앞서 노무현·이명박·박근혜·윤석열 전 대통령은 국회의사당 앞 광장에서 취임식을 열었다.
b3@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