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터널 화재 대피 돕는다"…서울시, '표준형 안전경관등' 도입
홍지문·정릉·구룡터널 3곳 시범 적용
- 한지명 기자
(서울=뉴스1) 한지명 기자 = 서울시는 터널 및 지하차도 화재 시 시민 대피를 돕기 위한 '표준형 안전디자인'을 개발해 홍지문터널, 정릉터널, 구룡터널 3곳에 시범 적용한다고 14일 밝혔다. 초록색과 노란색을 혼합한 '안전빛색'을 도입해 시인성과 접근성을 높였다. 피난연결통로에 '터널안전경관등' 형태로 설치한 것은 전국 최초다.
시는 지난 2022년 색각이상자도 구별 가능한 서울형 산업현장 안전디자인을 개발한 바 있으며 이번 터널 안전디자인은 후속 사업이다. 최근 영동대로 복합개발, 동부간선도로 지하화 등 각종 도로 지하화 사업이 확대됨에 따라 시민과 공사인력에 대한 안전조치로 이번 디자인을 도입했다.
터널안전경관등은 건설·국토관리 분야 정부출연 연구기관인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의 실증 실험 결과, 암전과 연기 발생 시에도 일정 수준 이상의 가시성이 확보돼 대피에 실질적 도움이 되는 것으로 확인됐다. 기존 유도등보다 시인성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시는 피난 대피 시설 외에도 위치번호판을 개선해 적용한다. 암전 시 최대 1시간 발광하는 축광 시트를 활용한 안내표지를 도입해, 위치, 출입구 방향, 거리 정보를 직관적으로 제공한다. 해당 번호판은 특히 피난연결통로가 없는 노후 터널에서의 비상 대피에 큰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공사 중인 현장 내 차량 리프트, 근로자 리프트 안내표지에도 신규 디자인을 적용해 추락·끼임 등 인명사고 예방에도 기여할 계획이다.
이외에도 보행로 구분 및 차량 출입 통제에 사용되는 플라스틱 방호벽은 기존 흰색과 빨강색 조합에서 흰색과 파랑색으로 교체돼 시인성과 도시미관이 개선된다. 해당 방호벽은 곡선 설치가 가능하고 공간 차지율도 40% 이상 감소하는 등 기능성도 향상됐다.
최인규 서울시 디자인정책관은 "시인성이 높은 표준 색상과 안전표지를 통해 터널과 지하차도를 통일성 있게 변화시켜 도시미관 개선에도 기여하겠다"고 전했다.
hjm@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