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식 어르신 제로' 든든한 한 끼 대접 '서울밥상' 본격 시작
어르신 1000여 명에 도시락·밑반찬 매주 전달
- 권혜정 기자
(서울=뉴스1) 권혜정 기자 = 서울시는 급식 지원을 받지 못하고 있는 60세 이상 저소득층 어르신 1000여 명에게 따뜻한 한 끼를 제공하는 '서울밥상' 사업을 본격적으로 시작한다고 8일 밝혔다.
시는 지난해 3만3000여명의 취약계층 어르신에게 무료급식을 제공했고 매년 예산을 늘려 대상을 확대하고 있다. 하지만 고령화와 1인가구 증가 등으로 지원규모는 지속적으로 늘고 있는 반면 한정된 조리공간과 운영인력 부족으로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고 시는 전했다.
이에 서울시는 급식 지원 사각지대를 줄이고 어르신들에게 고른 영양의 하루 한 끼를 지원하기 위해 서울밥상을 도입했다. 서울밥상은 시와 계약을 맺은 민간조리업체가 대량으로 도시락과 밑반찬을 만들어 복지관 등 거점수행기관에 공급하면 이들 기관이 어르신 댁으로 음식을 배송하는 시스템이다.
따로 공공의 조리공간이나 인력을 확보하지 않아도 되고 민간업체에서 대량으로 식자재를 구매‧조리하기 때문에 동일 비용으로 보다 고품질의 급식을 제공할 수 있다.
시는 서울밥상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배달플랫폼이 될 관내 복지관, 대한노인회지회, 돌봄통합센터 등 33개소의 거점 수행기관을 선정했다. 음식조리를 맡을 민간조리업체로는 3월 일반경쟁입찰을 통해 학교, 병원 등을 대상으로 급식 서비스를 제공 중인 ㈜현대그린푸드를 선정했다.
민간조리업체를 활용한 서울밥상 시범서비스는 9일부터 8개 자치구 845명의 저소득 어르신을 대상으로 진행된다. 매주 민간조리업체에서 조리된 도시락 7일분, 밑반찬 7일분이 전달되며 명절이나 어버이날‧노인의 날 등에는 특식이 제공된다. 지원대상은 생계급여수급자 기준 부적합으로 급식을 받지 못하는 독거 어르신, 기초생활수급 및 차상위계층 어르신 등이다.
시는 서울밥상을 통해 식사 제공은 물론 도시락‧반찬 배달을 기존 공공 어르신 일자리 사업과 연계 진행, 어르신 일자리 창출에도 도움을 줄 것으로 보고 있다. 배달과정에서 어르신 간 안부를 주고받으며 정서적인 돌봄도 가능할 것이란 설명이다.
시는 올해 하반기 서울밥상 사업참여 자치구를 추가 모집하고, 성과평가 등을 실시 후 내년에는 전체 자치구로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윤종장 서울시 복지실장은 "추가 공간 확보 없이 안정적으로 급식을 제공할 수 있는 서울밥상을 통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취약계층 어르신들에게 영양가 높은 양질의 급식을 대접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jung9079@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