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파티카지노

서울 시내버스 노사, 최종 협상 시작…결렬 시 30일 첫차부터 파업

통상임금·기본급 인상 놓고 의견 팽팽
서울시, 파업 대비 비상수송대책 마련

서울시 버스 노동조합이 파업을 예고한 가운데 29일 서울 양천구에 위치한 버스 공영차고지에 운행을 앞둔 버스가 줄지어 주차돼 있다. 노조는 이날 오후 서울지방노동위원회에서 열리는 서울시와의 2차 조정회의가 결렬될 경우 30일 새벽 첫차부터 쟁의행위에 들어간다. 2025.4.29/뉴스1 ⓒ News1 장수영 기자

(서울=뉴스1) 한지명 기자 = 서울 시내버스 노사가 29일 오후 5시 서울지방노동위원회에서 임금·단체협약(임단협) 최종 조정회의를 열고 막판 협상에 들어갔다. 협상이 결렬될 경우 노조는 30일 오전 4시 첫차부터 전면 파업에 돌입할 예정이다.

서울시버스노동조합과 사측인 서울시버스운송사업조합은 이날 조정회의에서 마지막 교섭을 진행한다.

서울지방노동위원회가 조정중지 결정을 내리면 노조는 합법적 파업권을 획득하게 된다. 이후 통상 사후조정 절차를 거쳐 추가 교섭을 시도하며, 여기서도 합의가 이뤄지지 않으면 전면 파업에 들어간다.

노사는 올해 임단협에서 정기상여금의 통상임금 반영과 기본급 인상 등을 놓고 팽팽히 맞서고 있다.

노조는 대법원 판례에 따라 격월로 받고 있는 정기상여금은 자동으로 통상임금에 포함되며 이는 단체교섭 대상이 아니라고 주장한다. 또 △기본급 8.2% 인상 △운전직 호봉 상한 상향(9호봉→11호봉) △정년 만 65세 연장(현행 만 63세) △하계 유급휴가 5일 신설 △고용안정협약 체결 등을 요구하고 있다.

사측은 기존 임금체계가 정기상여금을 통상임금에서 제외한 상태에서 총액을 기준으로 협상해 온 만큼, 대법원 판례 변경에 따라 임금체계를 먼저 개편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서울시는 "고용노동부도 통상임금 노사지도 지침 개정을 통해 노사 간 임금체계 개편을 유도하고 있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노조 요구를 모두 수용할 경우 운수종사자 평균임금이 6273만 원에서 7872만 원으로 1599만 원 인상되고, 인건비 총액이 연간 2965억 원 증가할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누적 부채가 1조 원에 이르는 시내버스 준공영제 재정 여건을 고려할 때, 수용은 어렵다는 설명이다.

반면 노조는 "기존 교섭 과정에서 사측이 임금체계 개편안을 정식으로 제시하지 않았으며, 상여금을 성과급으로 전환하려는 시도는 이미 확보된 노동자 권리를 박탈하는 것"이라고 반박했다.

서울시는 파업에 대비해 비상수송대책을 가동한다. 지하철 출근 시간대(오전 7∼9시)를 오전 7∼10시로 1시간 연장하고, 1∼8호선과 우이신설선에 열차를 47회 추가 투입할 예정이다.

또 주요 거점에는 무료 셔틀버스 500여 대를 운행하고 지하철 막차 시간은 익일 오전 2시까지 연장한다. 공공기관, 학교, 민간기업에는 출근·등교 시간 조정을 요청할 방침이다.

노사 협상이 최종 결렬될 경우 서울 시내버스는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 운행이 중단될 전망이다. 지난해 12월에도 총파업에 돌입했지만, 당일 오후 극적 합의로 약 11시간 만에 운행이 재개된 바 있다.

hjm@dqdt.shop

바오슬롯 프리미어카지노 소닉카지노 산타카지노 토르카지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