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주자들, 산업도시 울산 찾아 "산업 발전" 한 목소리
이재명 '미래산업 전환'·김문수 'K방산'·이준석 '리슈어링'
울산시, 14일 지역 국회의원들에 '공약 사업 반영' 요청
- 김세은 기자
(울산=뉴스1) 김세은 기자 = 제21대 대통령 선거가 3주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여야 대선 주자들의 울산지역 공약에 대한 윤곽도 점차 드러나고 있다.
특히 유력 후보들의 울산지역 핵심 공약이 ‘산업 발전’에 초점이 맞춰지면서, 향후 구체적인 실행 방안과 실현 가능성 유무에 대해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는 지난 13일 울산 남구 롯데백화점 광장 유세를 통해 울산의 주력 산업인 자동차, 조선업, 석유화학산업의 ‘친환경 미래산업 전환’을 강조했다.
구체적으로는 △석유화학산업의 재생에너지 기반 생산공정 구축 및 고부가가치 산업구조 전환 지원 △완성차 기업·부품업체의 미래차 전환과 고용 전환 지원 △조선업 자율운항 및 친환경 선박 기술 개발 지원을 약속했다.
그는 민선 7기 송철호 울산시장의 주도로 추진된 ‘부유식 해상풍력단지 조성 사업’도 언급하며 신속한 추진 의사를 밝혔다.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는 전날 울산 중구 뉴코아아울렛 앞 유세에서 지역 대표 기업의 우수성을 강조하며 “북한의 핵무기 협박 공갈에 이기기 위해서 핵추진잠수함을 만드는 K-방산을 울산 HD현대중공업과 발전시키겠다”고 했다.
또한 울산시의 역점 사업인 수소 중심 클러스터 조성, 2028년 울산국제정원박람회 성공 개최 등의 공약을 전면으로 내세웠다.
특히 그는 울산시가 추진 중인 세계적 공연장 건립을 위해 5000억원을 특별예산으로 지원하겠다는 파격적인 공약을 제시하기도 했다.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는 해외 이전 기업을 한국의 ‘러스트벨트’(쇄락한 제조업 지역)인 울산 미포·온산 등 국가산업단지로 들여오는 ‘리쇼어링’ 정책을 10대 공약 중 하나로 꼽았다.
이 후보는 리쇼어링 기업 지원을 위해 특별 규제 완화에 나서는 한편, 외국인 노동자 전용 특수 비자 신설, 외국인 노동자 임금 차등 적용 등을 대책으로 제시했다.
한편 울산시는 이날 오후 지역 국회의원들과 함께 예산정책협의회를 열고 대선 공약 사업 반영을 요청했다. 시가 마련한 공약 사업은 교통 등 5대 분야 12개 정책 과제와 35개 세부 사업, 총사업비는 25조8000억원 규모다.
syk000120@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