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항만공사, 미 관세정책 대응 고객 간담회
- 조민주 기자

(울산=뉴스1) 조민주 기자 = 울산항만공사(UPA)는 최근 미국의 관세 정책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15일 공사 다목적홀에서 '대미 관세정책 대응 고객 간담회'를 열었다.
이번 간담회는 각 산업계 동향 및 애로사항, 상호협력 방안 등에 대한 토론과 의견을 청취하기 위해 마련됐다.
간담회에는 현대자동차, HD현대중공업, SK에너지, S-OIL, CJ대한통운, 울산컨테이너 터미널, 탱크터미널, 주요선사 등 울산항 주요 화주 및 물류기업 임원·실무자 약 50여 명과 울산지방해양수산청, 울산시 및 울산세관 관계자가 참석했다.
간담회에 앞서 김민태 한국무역협회 울산본부 관세사는 주제 발표를 통해 미국은 자동차, 부품, 철강 제품 등에 대해 최대 25%의 고율 관세 부과를 예고하고 있다며 비관세 장벽도 강화되는 추세라고 언급했다.
또 울산의 대미 자동차 수출은 2023년 기준 140억 달러를 넘어 전체 대미 수출의 약 65%를 차지하고 있어 관세 부과 시 실질적 타격이 불가피하다고 분석했다.
이어 각 산업계의 발표를 통해 미국 관세 불확실성 속에 대한 울산항의 대응전략을 공유하고 참석자들은 민관공 상호 협력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했다.
특히 조선부문은 친환경선박 발주량 증가 속에 미국 군함 신조 및 MRO(유지·보수·정비) 사업을 위한 항만시설의 지원, 자동차부문은 기상악화 시 수출입 중단대책과 부족한 장치장 확보 필요성, 에너지부문은 친환경 연료수요 증가에 따른 시설 및 인프라 확충 필요성 등에 대한 토론이 진행됐다.
공사는 이날 간담회를 통해 수렴된 업계 동향과 대응방안에 대해 관세통상 현안 관점에서 최우선적으로 항만운영 지원방안을 모색하고 중장기적으로는 항만인프라 확충과 제도개선을 위해 민관공 협력체계를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변재영 공사 사장은 "수출입 물류 위기는 개별 기업만의 문제가 아니라 항만과 산업이 공동으로 대응해야 할 과제"라며 "울산항은 단순한 물류 거점을 넘어 국가 수출 기반을 지탱하는 산업항만인 만큼 실효성 있는 현장 지원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minjuman@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