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최고인민회의 보도 없어…회의 이틀 이상 진행 추측
일정 종료 후 결과 몰아서 보도 전망
- 유민주 기자
(서울=뉴스1) 유민주 기자 = 북한이 우리나라의 국회 격인 최고인민회의를 22일 개최한다고 예고했지만 23일에도 관련 소식을 보도하지 않고 있다. 회의가 이틀 이상 길어지는 것으로 추측된다.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 등 북한 관영매체들은 이날 최고인민회의 관련 언급을 하지 않았다. 신문은 '지방발전 20X10 정책' 관련 성과 기사를 1면과 2면에 보도했다.
앞서 북한은 지난해 12월 5일 열린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제14기 제34차 전원회의를 통해 올해 첫 최고인민회의를 1월 22일 소집한다고 밝힌 바 있다. 통상 북한은 회의 이튿날에 관련 소식을 보도하는데, 회의가 끝나지 않은 경우엔 일정 종료 후 결과를 몰아서 한번에 보도하기도 한다. 이에 이날 2일 차 회의가 진행 중일 가능성이 있다.
북한은 이번 회의에서 내각의 2024년 사업정형과 2025년 과업에 대한 문제, 2024년 국가예산집행의 결산과 2025년 국가예산에 대한 문제, 건재공업법, 바다가양식법 심의·채택과 관련한 문제, 중앙재판소의 2024년 사업정형에 대한 문제, 사회주의헌법의 일부 조문을 수정함에 대한 문제, 조직문제를 토의한다고 밝혔다.
그중 '사회주의헌법 일부 조문 수정'에는 북한이 주장하는 새 남북관계에 대한 내용이 담길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김정은 노동당 총비서는 지난해 1월 최고인민회의에서 통일 표현 삭제와 영토 조항 신설 등 '적대적인 두 국가관계' 선언의 후속조치로 사회주의 헌법 개정을 지시했지만 한 해가 지나도록 관련 개헌 내용은 공개하지 않았다.
또 김 총비서의 시정연설이 있다면 북한이 새로운 대미 메시지를 발신할지도 주목된다. 북한은 지난해 12월 연말 전원회의에서 트럼프 2기 행정부를 상대로 '최강경 대응 전략'을 펼칠 것을 예고한 바 있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에 예상보다 호의적인 태도를 보이면서 북한의 산법도 복잡해졌을 것이란 추측이 나온다.
youmj@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