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형 구축함 앞세워 원양함대 건설 밝힌 北 김정은…대미 조건부 위협
한미 군사 행보에 불만 표출…'핵잠' 건조 사업 언급하며 美 위협
한미에 대응해 "반사적 조치 취할 것"…'선 중단' 대화 조건 제시
- 최소망 기자
(서울=뉴스1) 최소망 기자 = 김정은 북한 노동당 총비서가 5000톤(t)급 신형 구축함을 공개하면서 한미가 초래한 '지정학적 위기'에 반드시 대응할 것이며 '반사적인 조치들을 취해나갈 것'이라고 위협했다.
강화되는 한미의 대북 적대 군사행동에 비례해 자신들도 '강 대 강'으로 대응하겠다는 기존의 원칙을 재차 밝힌 것인데, 북한과의 대화 의지를 나타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게 대화 조건을 상기시키며 재차 압박에 나선 것으로도 풀이된다.
김 총비서는 지난 25일 조선인민혁명군 창건 기념일을 맞아 남포조선소에서 진행된 신형 구축함 진수기념식에 참석했다. 공개된 구축함은 배수량이 5000톤급으로 기존 북한의 압록급 호위함(1500t급) 보다 3배 이상 크다. 북한은 이를 '최현'급으로 분류하며 함명은 '최현호'로 명명했다.
김 총비서는 이날 연설에서 △원양작전함대 건설 △핵동력 잠수함(SSBN) 건조 △순양함과 호위함 건조 계획을 밝히며 "세계의 그 어느 수역에든 진출하여 적수국들의 침략을 주동적으로 견제하고 선제 또는 최후의 보복공격을 가할수 있는 능력을 건설"할 것이라고 대미 위협 수위를 높였다.
또 "미국과 그 추종국가의 군대는 공화국의 안전상 우려를 무시하고 정세를 악화시키는 도발적인 행위들을 상습적으로 감행"하고 있다며 한미 연합연습, 미국의 전략 자산 한반도 전개, 새 전시 작전계획 수립 등을 두고 "가장 명백한 전쟁 의지의 표현"이라고 비난하기도 했다.
이같은 위협은 지난 1월 집권한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의 핵무기 보유를 인정하는 듯한 발언을 지속하면서도 '비핵화 정책'을 유지하고 북핵 확장 억제 등에 대한 안보 조치가 취해지고 있는 것에 대한 불만을 표출한 것으로 보인다.
김 총비서는 이날 해군 무력 강화가 "우리 국가의 영토완정과 완전한 평화를 위한 최선의 선택이며 정정당당한 자위권 행사"라는 주장도 펼쳤다. 한미가 대북 적대 행위 수위를 높여가고 있어 "현존위협과 전망적인 위협으로부터 국가 안전상 우려를 정확히 반영"했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미국이 계속하여 군사적힘의 시위행위에서 기록을 갱신해나간다면 우리도 마땅히 전략적억제력행사에서 기록을 갱신할수밖에 없다"며 "이것은 정당한 반응"이라고 해군 무력 강화 조치의 정당성을 재차 강변했다.
한미 때문에 핵무력을 강화한다는 주장은 기존의 북한 입장과 다르지 않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지속적으로 북미대화 의지를 나타내는 상황이어서 북한이 대화를 위한 조건을 제시한 것으로 해석된다.
해군력 강화 조치가 한미 행동에 대한 '대응'이라는 것은, 달리 말해 미국이 먼저 북한에 대한 적대행위를 중단한다면 대화에 응할 수도 있다는 의미로 볼 수도 있다. 김 총비서가 이날 연설에서 거론한 미국의 전략자산 한반도 전개나 한미 연합연습 중단이 그 조건일 수 있다.
같은 맥락에서 김 총비서는 "우리는 이러한 지적학적 위기와 발전흐름에 반드시 대응할 것이며 반사적인 조치들을 취해나갈 것"이라고도 말했는데, '반사적인 조치'는 미국의 선행동에 후대응하겠다는 뜻으로 읽을 수 있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총장은 "트럼프 2기 집권 이후 비핵화 정책 유지, 핵협의그룹(NCG) 지속 운용, 한미 일체형 확장 억제 등의 미국 대북 정책 기조가 이어지고 있는 것에 대해 강한 불만을 표출한 것"이라면서도 "핵 포기 불가 입장을 거듭 전달하면서도 북미 협상을 위한 사전 선결 조건을 제시한 데 의미가 있다"라고 평가했다.
somangchoi@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