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성동 "나도 SKT 계약 해지"…국힘, 정부·SKT에 보안 수립 주문
SKT 소비자 권익 및 개인정보보호 위한 긴급 간담회
권영세 "SKT, 유심 정보 암호화조차 안 해"
- 구진욱 기자, 손승환 기자
(서울=뉴스1) 구진욱 손승환 기자 = 국민의힘은 1일 'SK텔레콤(SKT) 고객 유심(USIM) 정보 해킹 사건'과 관련해 정부와 이동통신사를 향해 전면적인 보안 실태 점검과 근본적인 사이버 보안 체계 수립을 주문했다.
국민의힘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SK텔레콤 소비자 권익 및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긴급 간담회'를 개최하고 해킹 사태에 대한 전면적인 상황 점검과 대책 수립 마련에 나섰다.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은 "이 자리는 단순히 해킹 사건을 논의하기 위해서 마련된 자리가 아니다"며 "더 심각한 것은 SKT가 유심 정보를 암호화조차 안 한 것이 문제"라고 지적했다.
이어 "이것은 단순한 실수가 아니다. 직무 유기"라며 "정부의 대응도 별반 다르지 않았다"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해킹 당한 서버는 정부가 점검하고 진단하는 주요정보통신 시설로 지정돼 있지 않았다"며 "국가는 감독하지 않았고, 기업은 정보보호를 외면했다"고 말했다.
아울러 "어떤 것도 믿지 않는 '제로 트러스트'(Zero Trust) 원칙하에 근본적으로 사이버 보안체계를 점검해야 한다"며 "SKT는 물론 이동통신기업들, 특히 보안에 더 취약한 알뜰폰 사업자들까지 포함해서 전면적으로 보안 실태를 점검하고, 보안 사고에 대응하기 위한 가이드라인과 매뉴얼을 새롭게 수립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권성동 원내대표 역시 "어제부로 지난 20여 년간 사용해왔던 SK텔레콤과의 계약을 해지했다"며 "모든 것이 휴대폰 하나로 연결되는 이 시대에, 사전 예방은커녕 사후 대처조차 미흡한 통신 기업에 대한 항의의 뜻을 담아, 한 명의 소비자로서 결단을 내린 것"이라고 비판했다.
권 원내대표는 "실제로 많은 가입자들이 어렵게 시간을 내어 대리점을 찾아도 유심 교체조차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며 "급히 개통한 온라인 예약 시스템마저 신청자가 몰리며 접속 장애와 오류가 반복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민간기업의 영업기밀은 물론, 국가적 보안이 요구되는 국방·안보 분야까지 영향을 받고 있어, 그 사회적 파장이 계속 확산되고 있다"며 "국민의힘 역시 통신 소비자 권익 보호를 최우선 과제로 삼고 장차 통신사 서버를 주요정보통신 기반시설로 지정해 국가 차원의 보안 점검을 시행하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사건을 다루는 당 태스크포스(TF) 위원장인 김희정 의원은 "어제(4월 30일) 과방위 청문회에서 SKT에 책임 있는 답변을 받았다"며 "유심보호서비스를 가입하지하지 않은 사람들에 대해서도 이번 사태와 관련된 사고에 대해 100% 책임질 것을 요청한다"고 말했다.
kjwowen@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