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32' 대선판 출렁…'한덕수·단일화·李 파기환송·쌍탄핵' 격랑
국힘-한덕수 단일화, 산 넘어 산…이준석·빅텐트 과제도
李 파기환송 파장…탄핵 강공·이슈 덮기 반전책 총동원
- 심언기 기자, 손승환 기자, 한병찬 기자
(서울=뉴스1) 심언기 손승환 한병찬 기자 = 대선을 한 달여 앞두고 정치권이 요동치고 있다.
보수 진영에서는 한덕수 전 국무총리 출마로 단일화 및 '반명(反이재명) 빅텐트' 논의가 본격화하고 있다. 대선 후보 등록 마감일인 5월 11일까지 열흘도 채 남지 않은 시간, 국민의힘은 당 대선 후보와 한 전 총리 간 단일화를 이뤄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12·3 비상계엄이 촉발한 조기대선에서 줄곧 우위에 섰던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통령 선거 후보는 재점화 된 '사법리스크'를 잠재울 묘안을 고심 중이다. 민주당은 전날(1일) 심우정 검찰총장에 대한 탄핵안 발의, 최상목 전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탄핵 추진에 나섰고 최 전 부총리는 이 과정에서 자진 사퇴했다.
보수 진영 단일화 성사 여부 및 이 후보 사법리스크 파장, 민주당의 탄핵 카드 재점화에 따른 행정부 무력화 등이 6·3 대선의 변수로 부상하는 형국이다.
2일 정치권에 따르면 한 전 총리는 전날 사의를 표하며 "엄중한 시기 제가 짊어진 책임의 무게를 생각할 때, 이러한 결정이 과연 옳고 또 불가피한 것인가 오랫동안 고뇌하고 숙고한 끝에 이 길밖에 길이 없다면, 그렇다면 가야 한다고 결정했다"고 밝혔다.
한 전 총리는 이날 오전 10시 국회에서 대선 출마선언 기자회견을 갖고, 이어 곧바로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대통령 예비후보 등록을 마칠 예정이다.
한 전 총리의 대선 출마는 예견된 수순으로, 3일 국민의힘 최종 대선 후보가 결정되면 되도록 속히 단일화 논의에 돌입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국민의힘 안팎에선 거액의 기탁금과 치열한 경선을 뚫고 거머쥔 대선 후보 자리를 전날 사퇴한 한 전 총리에게 넘길 수도 있는 상황에 대한 반감도 상당하다. 특히 한동훈 대선 경선 후보는 단일화 논의에 아직 선을 그으며 신중한 입장을 보이고 있다.
국민의힘과 한 전 총리 측이 본격 협상에 돌입해서도 단일화 룰을 두고 치열한 샅바 싸움을 벌일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여론조사 방식이 유력하지만 구체적 방법과 시점 등을 두고 적지 않은 진통이 예상된다.
양측의 단일화 논의는 후보 등록이 마감되는 5월 11일이 데드라인이 될 전망이다. 이를 넘기면 '기호 2번' 프리미엄이 사라질 수 있어서다.
국민의힘과 한 전 총리 간 단일화가 성사된 이후에도 범보수 진영의 이준석 개혁신당 대통령 후보, 이낙연 새미래민주당 상임고문과의 단일화 이슈가 재차 불거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재명 후보의 공직선거법 사건 파기환송을 예상치 못한 민주당은 초반 당혹감을 감추지 못했다. 그러나 곧바로 전열을 수습해 최상목 전 부총리와 심 총장 탄핵을 밀어붙이며 강공으로 전환했다.
민주당은 긴급 의원총회와 비공개 지도부회의를 거쳐 '최상목·심우정 쌍탄핵' 절차를 일사천리로 진행했다. 최 전 부총리는 자신에 대한 탄핵안이 상정되자 곧바로 사의를 표명했고, 한 권한대행이 이에 대한 재가를 행사했다.
선대위 체제로 전환한 민주당은 향후에도 이 후보 사법리스크 이슈화를 잠재우기 위한 다양한 전략을 모색할 것으로 보인다.
민주당은 전날 대법원 선고 뒤 예정에 없던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긴급현안질의 개최를 결정했다.
이날 법사위 현안질의는 법원행정처, 법무부, 헌법재판소 등을 대상으로 진행된다. 민주당은 이 후보 대법원 판결에 대해 사법부의 입장을 집중적으로 캐물으며 여론전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1일 1메시지'로 비교적 정중동 행보를 보여왔던 이 후보의 대선 전략에도 일부 수정이 이뤄질 수도 있다. 사법리스크 공세에 수세적 대처보다 정치, 경제, 사회 등 주요 사안을 중심으로 역으로 공세적 이슈화에 나서는 방안이 거론된다.
향후 보다 파격적·논쟁적 발언과 공약이 나올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eonki@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