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파티카지노

지도부 "시간 없다" 김문수 압박 초지일관…"경선 왜 했나"

김문수, 당무우선권 발동에도…지도부는 설문조사 강행
"후보가 결단할 명분 마련해야"…경선 3강도 일제 비판

서울 여의도 김문수 후보 선거 캠프 사무실의 모습. 2025.5.7/뉴스1 ⓒ News1 이재명 기자

(서울=뉴스1) 한상희 기자 = 국민의힘이 6·3 조기대선을 앞두고 단일화를 둘러싸고 당과 후보가 정면 충돌하는 초유의 상황에 직면했다. "사기당했다", "누가 단일화하라고 등 떠밀었느냐"는 김문수 대통령 후보 비판과 함께, "비상식적 행태", "해당 행위" "참담한 심정"이라며 지도부 비판까지 터져나오며 당 안팎의 혼란은 극에 달하고 있다.

국민의힘 지도부가 정한 단일화 시한(5월 11일 후보 등록 마감일)을 나흘 앞둔 7일, 지도부는 압박 수위를 끌어올렸다.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은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정해진 데드라인 안에 반드시 구체적인 결과가 나와야 한다"고 강조했고, 권성동 원내대표도 의원총회에서 "이제 더는 시간이 없다. 오늘 반드시 단일화를 확정해야 한다"고 압박했다.

김 후보는 이에 반발해 당무우선권까지 발동하며 전 당원 대상 단일화 찬반 여론조사에 제동을 걸었지만, 당은 예정대로 조사를 강행했고 결과도 발표할 방침이다.

사무처 역시 여론조사에 구속력을 부여하거나 이를 근거로 단일화를 추진할 수 있는 방안을 들여다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마음만 먹으면 당헌·당규를 개정해 후보 교체나 단일화를 강제하는 게 불가능한 일은 아니다"는 말까지 흘러나온다.

당내 "김문수 입장 수차례 바뀌어"…金측 "후보로서 존중 못받아"

김 후보 측의 입장이 여러 차례 바뀌었다는 당내 불만도 적지 않다. "김덕수'(김문수+한덕수) 내세울 땐 언제고, 황당하다"는 입장이다. 당 관계자는 "사기당한 기분"이라며 "이런 모양새로 누가 선거를 돕고 싶겠느냐"고 하소연했다.

전당대회 기간 단일화에 적극적이었던 김 후보는 지난 1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을 유죄 취지로 파기환송한 대법원 판결 이후 미묘하게 달라졌다. 대선 후보로 선출된 3일에는 "당원들이 오늘 뽑아줬는데 오늘 단일화 방안을 내놓으면 이상하지 않겠나"며 유보적인 입장을 내비쳤다.

김 후보 측은 "당 대선 후보로서 기본적인 존중을 받지 못했다"며 격앙된 분위기다. 김 후보 측 차명진 전 의원은 페이스북에 "양권(권영세·권성동)은 당장 그 자리에서 내려와야 한다"고 했다. 김 후보를 지지하는 원외 당협위원장들은 법원에 전당대회 개최 금지 가처분 신청을 냈다. 법원이 심문기일을 8일로 잡아 9일쯤 결론이 나올 것으로 보인다.

당내에서도 지도부의 압박 전략이 오히려 역풍을 부르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5선 중진 나경원 의원은 의원총회 후 기자들과 만나 "단일화는 전당대회를 거쳐 선출된 후보가 주도해야 한다"며 "등록일에 매몰되기보다, 열어서 생각해야 한다. 너무 후보를 압박하기보다는 후보가 결단하게 해야 한다고 밝혔다.

"단일화 로드맵 설계 부실" "정통성 있는 후보 존중해야"…지도부 비판도

3선 중진 의원은 뉴스1과의 통화에서 "처음부터 명확한 명분과 로드맵을 갖고 추진했어야 했는데, 명분은 약하고 계획은 엉망이라 답답할 따름"이라며 "이 문제는 상식선에서 판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김 후보가 결단할 수 있도록 충분한 명분을 마련해주는 것이 우선"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재선 의원도 "지도부가 김 후보에게 너무한다고 생각한다"며 "(단일화 로드맵) 설계 자체가 부실했다. 철근을 빼먹고 부실공사를 했으면 집이 무너지는 것이다. 정통성을 갖고 뽑힌 후보에게 단일화를 압박하는 건 말이 안 된다"고 비판했다. 한 원외 당협위원장은 "정통성 있는 후보에게 나가라는 건 해당 행위"라고 했다.

경선에 참여했던 후보들도 지도부를 질타했다. 한동훈 전 대표는 "우리끼리 상투 붙잡고 수염 잡아뜯으면서 드잡이할 정신이 있나. 국민들 보기에 부끄럽고 죄송하지 않나"고 했고, 홍준표 전 대구시장은 "용산과 당 지도부가 합작해 느닷없이 한덕수를 띄우며 탄핵대선을 윤석열 재신임 투표로 몰고 가려고 했다"며 단일화를 '음험한 공작'이라고 비난했다.

전문가들은 지도부와 후보 측 모두 책임이 있다고 지적했다. 최창렬 용인대 특임교수는 뉴스1에 "경선 과정부터 한 후보를 기정사실화한 지도부도, 단일화를 앞장서 주장하다 말을 바꾼 김 후보도 명분이 약하다"며 "단일화는 양측이 협의해 풀어야지, 어느 한쪽이 밀어붙일 문제는 아니다"라고 제언했다.

angela0204@dqdt.shop

바오슬롯 프리미어카지노 소닉카지노 산타카지노 토르카지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