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과 잘 헤어지기' 난제…김용태 비대위 오늘 출범
이번 주중 尹거취 입장 낼 듯…김문수와 엇박자도
중도-지지층 균형 포섭 과제…당 주류서 반발 잠재워
- 한상희 기자
(서울=뉴스1) 한상희 기자 = 6·3 조기 대선을 19일 앞두고 국민의힘이 김용태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를 출범시킨다. 김 비상대책위원장 취임은 권영세 전 비대위원장 사퇴 후 닷새 만이다. 김 의원이 당면한 제1 과제는 윤석열 전 대통령과의 관계 설정이 꼽힌다.
국민의힘은 15일 전국위원회를 열고 당내 최연소 초선인 김 의원을 신임 비상대책위원장으로 임명하는 안건을 의결한다. 전국위는 이날 오전 10시 30분 비대면 회의를 열어 자동응답시스템(ARS) 투표를 통해 비대위원장 임명안을 의결할 예정이다. 이후 권성동 당대표 권한대행 겸 원내대표의 임명 절차를 거쳐 공식 취임하게 된다.
김 의원이 직면한 최대 난제는 윤 전 대통령이다. 그와의 거리두기로 중도층을 공략함과 동시에 보수 유권자들의 마음도 고려한 수위 조절 줄타기를 해야하는 상황이다.
김 의원은 이번 주 내로 윤 전 대통령과에 대한 구체적인 입장을 밝힐 것으로 예상된다. 그는 전날 국회에서 윤 전 대통령 탈당에 대해 "당내 많은 분에게 의견을 듣고 있다"면서 "이번 주 안에 정리해서 말씀드리겠다"고 말했다.
YTN과의 인터뷰에서도 "당 입장에서 자진 탈당이 가장 자연스럽게 해결될 수 있는 방안"이라며 "대통령께서 그렇게 판단해 준다면 당에서 여러 고민이 해결될 수 있다"고 했다.
윤 전 대통령 거취를 두고 엇박자가 난 김문수 대통령 후보와 입장 조율도 필수적이다. 김 후보는 지난 13일 "탈당하느냐, 안 하느냐는 (대통령) 본인의 뜻"이라며 "자기가 뽑은 대통령을 탈당시키는 방식으로 책임이 면책될 수 없고 도리도 아니다"라고 말했다.
김 후보의 12·3 비상계엄 사태 첫 공식 사과는 윤 전 대통령과 거리를 두려는 신호로 해석됐다. 그러나 김 후보가 하루 만에 출당 등 강제 조치에는 나서지 않겠다고 밝히며 선긋기는 제자리 걸음이 됐다.
국민의힘에서는 불리한 판세 속 중도층 공략을 위해 윤 전 대통령과의 관계 재정립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날로 높아지고 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에 반감을 가진 중도층에게 김 후보를 선택할 명분을 만들어 주자는 취지다.
김 의원이 앞장서 윤 전 대통령과의 관계 설정에 대한 입장을 내고, 김 후보는 이를 수용하는 방식이 우선 거론된다. 중도층 표심을 끌어들이면서도 지지층 반발을 최소화하는 전략으로 꼽힌다.
정치권에서는 윤 전 대통령 측근들이 윤 전 대통령에게 자진 탈당을 설득하고 있다는 이야기도 나온다. 김 후보는 14일 윤 전 대통령의 자진 탈당설에 관해 "대통령이 잘 판단할 것"이라며 "대통령 판단을 존중하는 게 옳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자진 탈당 가능성은 열어두되, 출당 등 적극적인 단절에는 선을 그은 셈이다.
만약 스스로 나가지 않으면 출당 등 강제 조치가 필요하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한동훈 전 대표는 최근 페이스북에 "윤 전 대통령 출당으로 윤 전 대통령 부부와 당을 절연해야 한다"고 적었다.
다만 김 의원은 YTN 인터뷰에서 '윤 전 대통령이 자진 탈당하지 않을 시 강제 출당을 고려하느냐'는 질문에 "출당에 대해선 후보가 (부정적인) 입장을 말한 바 있고 비대위원장 지명자로서 존중해야 한다"며 "탈당·출당 문제로 접근하면 당내 구성원들의 갈등이 더 증폭할 수 있다"고 거리를 뒀다.
김 의원의 발언에 대해 당 주류, 특히 영남권에서는 그 발언 수위가 지나치게 강해 지지층 결집에 부담을 줄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지지층을 고려해 더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는 것이다.
한 중진 의원은 "집토끼를 잡아야 하는데 갈라놓는 발언을 하면 표가 더 분산될 수 있다"며 '당원들 사이에서도 그런 태도를 가진 사람이 비대위원장으로 임명된 것이 이해가 되지 않는다'는 의견이 나온다"고 전했다.
angela0204@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