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태 "공영방송, 정치적 독립해야…공공성, 지속가능성 직결"
"OTT·유튜브 확산…뉴스 신뢰도 떨어지고 소비 불확실성 커져"
- 박기범 기자, 구진욱 기자
(서울=뉴스1) 박기범 구진욱 기자 = 김용태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20일 "공영방송이 정치로부터 독립해야 할 필요가 있다. 그래야 신뢰받는 구조가 된다"고 강조했다.
김 비대위원장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ICT 방송본부 방송 분야 정책간담회'에서 "저널리즘의 공공성을 지키는 문제는 방송 산업의 지속 가능성과도 직결된다"며 이같이 말했다.
김 비대위원장은 "방송 산업이 무너진다면 공공성을 담보할 자원도, 플랫폼 등 인재도 무너질 것"이라며 "정책이 산업을 키워야 하고 산업이 공공을 지켜야 한다"고 말했다.
김 비대위원장은 특히 "지금 대한민국 방송은 갈림길에 서 있다"며 "인공지능(AI) 기술 확산, OTT(온라인동영상서비스), 유튜브 콘텐츠 소비 확산으로 수익은 플랫폼으로 쏠리는데 뉴스 신뢰도는 떨어지고 소비 전 과정에서 불확실성은 커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는 대한민국의 위기, 공공성의 위기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며 "정치가 해야 할 것은 제도의 재정비다. 규제를 풀자는 게 아니라 공정한 경쟁 기반의 시장 질서를 만들자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경영 소유 제한의 합리적 개선, 알고리즘 투명성 등은 입법과 제도로 풀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날 회의에 참석한 방문신 한국방송협회장은 "미디어 시장의 주도권은 유튜브 같은 글로벌 사업자에게 넘어가 있다"며 "절대 강자가 된 글로벌 OTT와 유튜브는 국내 방송사와 정반대로 아무런 제약 없이 마음껏 사업을 하고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규제가 혁파돼야 국내 방송사의 수익 모델이 혁신되고 그래서 K-콘텐츠 제작이 지속 가능하게 선순환할 수 있다"며 "△광고 규제 개선 △협찬 규제 개선 △내용 규제 개선 △편성 규제 개선 △방송 발전 기금 개선 등을 정책으로 제안했다.
pkb1@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