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탄핵 정국 막바지 '김건희 배후론'…野, 보수 분열 노린다
민주, 김 여사에 대한 보수층 비판 심리 이용하려
조기대선 정국 대비한 주도권 잡기 용도로도 유용
- 김정률 기자
(서울=뉴스1) 김정률 기자 = 12·3 계엄 사태로 빚어진 헌법재판소의 탄핵심판 막바지에 더불어민주당이 김건희 여사 리스크를 다시 꺼내 들었다. 탄핵 반대 집회로 뭉친 보수층에 균열을 주는 한편, 조기 대선을 대비한 것이라는 분석이다.
민주당은 비상계엄 사태 배후로 김 여사를 지목했다. 이른바 '명태균 황금폰' 공개 이후 바로 다음 날 윤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한 만큼 연관성이 있다는 주장이다.
민주당 지도부가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이 막바지로 향하는 가운데 김 여사 문제를 다시 꺼내든 것은 탄핵 반대로 똘똘 뭉친 보수층 결집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판단을 한 것으로 보인다. 탄핵 심판 자체에 영향을 줄 수는 없지만 이후 대선 국면까지 고려한 전략이라는 것이다.
윤 대통령의 비상계엄 사태 전 최대 리스크는 김 여사 문제로 꼽혔다. 보수층 내부에서도 김 여사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가 상당했지만 탄핵 정국 이후 김 여사 문제는 수면 아래로 가라앉았다. 여당과 윤 대통령 측이 헌재의 편향성 문제를 지적했고, '탄핵 공작'이 핵심 이슈로 자리잡으며 보수층이 결집했다.
하지만 지난 13일 헌법재판소 윤 대통령 탄핵 심판 변론에서 김봉식 전 서울경찰청장이 윤 대통령이 계엄 선포 이유를 설명하고 개인 가정사를 거론 했다는 진술과 조태용 국정원장이 계엄 선포 전날 김 여사와 문자를 주고받았다는 진술이 나왔다.
민주당은 이후 김 여사를 집중 거론하며 보수층 균열을 도모하고 있다.
여권 관계자는 통화에서 "민주당에서는 보수층에서 김 여사를 싫어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자꾸 김 여사를 부각하는 전략을 쓰고 있다"며 "얼마나 급하면 영부인 카드로 믿거나 말거나, 카더라식 허위사실 유포하느냐"고 반박했다.
이와 함께 탄핵 심판 인용을 가정하고 조기 대선을 준비하려는 움직임이라는 시각도 있다. 민주당 주장대로 지금 명태균 특검을 꾸린다고 해도 실제 활동 시점은 탄핵 심판 이후가 될 가능성이 크다.
명태균 특검은 김 여사의 공천 개입부터, 계엄 연루설로 이어질 뿐 아니라 현재 여권 대선 후보인 오세훈 서울시장, 홍준표 대구시장 등도 포함돼 있어 향후 조기 대선을 치를 경우 여권 대선 후보군에 큰 타격을 줄 수밖에 없다.
국민의힘에서 명태균 특검법 반대 관련, 입장을 내는 것 역시 이런 맥락과 맞닿아 있다는 분석이다. 이에 여권 내부에서는 민주당에 대한 반발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권 고위관계자는 "결국 대선용 전략"이라고 일축했다.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도 이날 오후 국회에서 기자간담회를 하고 "비상계엄과 내란 프레임의 약효가 떨어지니 '명태균 프레임'으로 이동하기 위해 아무 관련성 없이 뇌피셜로 허무맹랑한 이야기를 하는 것으로 본다"고 비판했다.
결국 민주당의 김건희 여사-명태균 씨를 고리로 한 공격은 향후 대선 정국이 가시화될 경우 정국 주도권을 잡고 여권 자체를 압박하기 위한 수단이라는 것이다.
신율 명지대 교수는 통화에서 "앞으로 어떤 얘기가 나올지는 모르지만 상황에 따라서는 대선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대선 정국에서 주도권을 잡으려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말했다.
jrkim@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