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문수 '尹 버리기' 딜레마…'빅텐트' 난제 해법 고심
친윤·핵심 지지층 의식…"尹 출당 생각해본적 없다"
외연확장·반명 빅텐트 조건 '尹 차별화' 변화 조짐
- 박기범 기자
(서울=뉴스1) 박기범 기자 =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후보가 '윤석열' 딜레마에 빠졌다. 친윤(친윤석열)계와 핵심 지지층의 지원으로 대선후보에 선출됐지만 '반명(반이재명) 빅텐트' 구축과 중도 외연확장을 위해 '윤석열 전 대통령과 결별'이란 모순적 난제를 풀어내야 하는 상황에 직면했다.
4일 정치권에 따르면 대표적 반탄(탄핵 반대)파인 김 후보는 전날(3일) 대선후보 선출 직후 기자들과 만나 '본선에서 이기려면 윤석열 전 대통령을 제명하거나 출당시켜야 한다는 의견이 있다'는 질문에 "윤 전 대통령을 출당한다든지 (하는) 생각을 해본 적이 아직 없다"고 선을 그었다.
김 후보의 이같은 발언은 그의 정체성과 지지층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김 후보는 대표적 반탄(탄핵 반대)파로, 윤 전 대통령 탄핵에 부정적인 친윤계와 당 핵심 지지층의 압도적 지원으로 이번 경선에서 승리했다.
실제 경선에서 선거인단(당원) 50%, 일반 여론조사 50%를 모두 반영한 김 후보의 득표율은 56.54%다. 하지만 당 핵심 지지층으로 꼽히는 선거인단 투표에서는 61.25%(24만6519표)로 경쟁자인 한동훈 후보를 압도했다.
김 후보가 핵심 지지층을 넘어 보수진영 전체를 끌어안고 중도층으로 외연확장을 위해선 결국 윤 전 대통령과 거리두기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실제 핵심지지층을 제외한 보수진영에서도 찬탄(탄핵 찬성) 여론은 적지 않은 실정이다.
전날 경선 결과를 살펴보면 일반 여론조사에서 김 후보는 51.81%, 한 후보는 48.19%를 받았다. 두 후보 간 차이는 3.68%포인트(p)에 불과하다. 여론조사에 역선택 방지조항이 적용돼 사실상 지지층을 대상으로 진행된 점을 고려하면 보수진영 내에서조차 찬탄 여론이 적지 않은 셈이다.
보수의 대선 승리 핵심 전략으로 꼽히는 '빅텐트' 선결 조건으로도 '윤석열 버리기'가 꼽힌다.
빅텐트의 한 축으로 윤석열 정부 유일의 국무총리 출신인 한덕수 무소속 예비후보는 비상계엄을 결정한 당시 국무회의가 잘못됐다는 입장을 분명히 하고 있다. 아울러 개헌, 통상외교 문제 해결 등 정치적 색채가 적은 공약을 내세우며 '친윤' 색 덜어내기를 시도 중이다.
윤 전 대통령의 청년참모였던 장예찬 전 국민의힘 최고위원이 최근 YTN라디오에서 "저도 포함해 친윤 정치인들, 웬만하면 한 전 총리 근처에 가지 마라"고 주문한 것은 한 예비후보의 '친윤 거리두기' 노력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빅텐트의 또 다른 한 축으로 꼽힌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의 경우 국민의힘 대표시절 윤 전 대통령을 비롯한 친윤계와 치열한 갈등을 겪었고, 윤 전 대통령 탄핵에 찬성했다.
이런 상황에서 김 후보가 '윤석열 차별화'에 실패한다면 외연확장은 물론 자신의 빅텐트 구상을 현실화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을 것이란 지적이다.
김 후보의 변화 움직임도 감지된다. 당 안팎에서는 경선 직후 핵심 지지층을 향한 메시지를 던졌지만 정치적 상황을 고려할 때 차별화 수순에 나설 수밖에 없을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보수 진영에서는 계엄과 탄핵에 대한 대국민 사과 등이 고려되는 것으로 전해진다.
국민의힘 공동 선대위원장으로 내정된 안철수 의원은 이날 김 후보에게 "계엄과 탄핵에 대해 국민께 사과해달라"고 공개 요청했다. 또한 윤석열 전 대통령에게는 '탈당'을 요구했다.
pkb1@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