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파티카지노

교통안전공단 "작년 자동차검사 부적합률 21%"

연간 교통사고 4.4만건 예방 효과 달성 분석

교통안전공단 작년 자동차검사 효과 통계.(한국교통안전공단 제공)

(서울=뉴스1) 김동규 기자 = 한국교통안전공단(TS)이 2023년 실시한 1300만 대의 자동차검사 통계를 분석한 결과 전체 부적합률은 20.93%로 나타났다고 30일 밝혔다.

공단은 작년 검사를 통해 연간 교통사고 약 4만 4000건(전년 대비 2.1% 상승)예방과 환경오염물질 약 1만 5000톤(전년 대비 2.4% 상승) 저감의 사회적 편익을 달성한 것으로 분석했다.

용도별 통계에서는 비사업용 자동차(21.67%), 차종별로는 화물(25.78%), 규모별로는 소형(25.96%)이 상대적으로 높은 부적합률을 보였다.

누적주행거리별로 구분 시 누적주행거리 15만㎞ 이상일 때 30% 내외의 부적합률을 보였다.

비사업용 승합 소형의 15~20만㎞ 데이터군의 부적합률이 42.0%로 높게 나타났으며 시도별로 부적합률 순위를 보면 대전(24.62%), 충남(23.31%), 세종(23.12%)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연료별 부적합률은 휘발유 19.41%, 경유 22.62%, LPG 23.03% 등 LPG 차량의 자동차검사 부적합률이 가장 높았다. 특이점으로는 비사업용 승용 소형 경유가 높은 부적합률을 보였다.

차령별 부적합률은 전체적으로 차령이 증가할수록 부적합률도 따라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그 중 차령에 따른 급격한 부적합률 증가를 보이는 분류군은 비사업용 승용 경형 분류군과 비사업용 화물 소형이다.

TS가 2021~2023년 검사소에서 실시한 자동차검사 데이터를 활용해 전기자동차의 중량과 타이어 마모에 끼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동일 모델에서 내연기관차 대비 전기차 중량이 약 1.2배 무거운 것을 확인했다.

검사결과 실제로 타이어 마모의 비중이 내연기관차보다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어 타이어 관리에 더욱 유의해야 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김덕호 김천대학교 공학 교수(한국자동차공학회 부회장)는 “자동차검사결과 분석은 국민 교통수단 안전성 관리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며 전기자동차 보급 증가에 따라 전기자동차의 특성 중 토크 가속성(토크)에 대한 분석이 추가적으로 필요하다”고 말했다.

정용식 공단 이사장은 “자동차 검사 및 운행 데이터를 활용해 국민에게 유익한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준비 중”이라며 “국민의 소중한 생명과 재산을 위해 교통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2023년 자동차검사 통계는 11월부터 국가통계포털에서 확인할 수 있다.

dkim@dqdt.shop

바오슬롯 프리미어카지노 소닉카지노 산타카지노 토르카지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