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억에 샀는데 6억 됐다…'인천의 강남' 송도 아파트 비명[집값 양극화]①
지역 내 공급 과잉·부동산 시장 침체 겹친 결과
공급물량 소화 전까지 하락 지속될 것으로 전망
- 김동규 기자
(서울=뉴스1) 김동규 기자 = 전국 아파트 매맷값이 10주 연속 하락한 가운데 인천의 강남으로 불리던 송도에서 고점 대비 가격이 절반 수준 떨어진 거래가 이뤄지고 있다. 해당 거래는 지역 내 공급 과잉에 부동산 시장 침체까지 겹친 결과로 해석된다. 전문가들은 기존 공급 물량이 일정 부분 소진 이후 매맷값 반등을 기대할 수 있다고 봤다.
24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이달 20일 기준 전국 아파트 매맷값은 지난해 11월 18일 이래 10주 연속 하락하고 있다. 수도권 아파트 매맷값도 하락하고 있다. 특히 인천 아파트 매맷값의 낙폭이 크며 연수구(-0.08%)·남동구(-0.13%)가 높은 하락률을 보인다.
실제 일부 단지 매맷값이 수억 원 하락한 것으로 확인됐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연수구 더샵송도마리나베이 전용면적 84㎡는 2022년 2월 12억 4500만 원에 팔리며 최고가를 경신했다. 그러나 같은 면적이 올해 1월 6억 500만 원·5억 9500만 원에 거래됐다. 3년 만에 반토막 이상으로 가격이 하락한 것이다.
인근 송도오션파크베르디움에서는 2022년 3월 전용 75㎡가 9억 원에 거래됐다. 올해 1월에는 같은 면적이 5억 9500만 원에 거래돼 3년 만에 매맷값이 34%(3억 500만 원) 하락했다.
심형석 우대빵부동산연구소장은 "인천은 공급이 많은 편인데 그 물량의 상당수가 연수구에 있다"며 "내년까지도 해당 지역에 공급계획이 있어 물량이 소화되기 전까지 하락세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함영진 우리은행 부동산리서치랩장은 "인천은 공급이 많은데,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 호재가 선반영돼 더 이상의 투자 선호가 보이지 않는 듯하다"며 "추가 공급 이슈도 있어 연수구를 포함한 인천 아파트 가격 하락은 상당 기간 나타날 것"이라고 설명했다.
아파트 매맷값 하락은 지방 미분양·정치 불확실성이 해소되기 전까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됐다. 김은선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최근 시장에 대한 불안감 등으로 전반적으로 수요자들이 관망세에 들어섰다"며 "미분양이 많은 상태에서 정치적 불확실성·대출 규제 등의 문제로 당분간 가격 하락에 무게가 실린다"고 지적했다.
함 랩장은 "지방 미분양 물량이 약 5만 가구가 넘는데, 잘 줄지도 않는다"며 "이런 이유에서 지방 아파트 가격 하락세는 적어도 상반기까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고 강조했다.
그는 "다만 올해 경기도 입주 물량이 평년보다 4만 가구 정도 줄어들 것으로 예상돼 전셋값 상승이 발생할 수 있다"며 "하반기 시장 개선 여지가 있다"고 덧붙였다.
dkim@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