높아진 전셋값 문턱에 '월세' 산다…갱신계약 2년 만에 최대
지난해 4분기 월세 비중 44%…전분기 대비 3.3%p 늘어
월세 갱신 31.6%, 2년 만 최대…"전세의 월세화 지속"
- 전준우 기자
(서울=뉴스1) 전준우 기자 = 임대차 시장에서 높아진 전셋값 문턱에 월세 시장으로 이동하는 수요자들이 늘고 있다.
10일 부동산R114가 2023~2024년 서울 아파트 전월세 실거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2024년 4분기 임대차 계약에서의 전세 비중은 56.0%(3만 112건), 월세 비중은 44.0%(2만 3657건)로 직전 분기 대비 월세 비중이 3.3%포인트(p)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2022년 불거진 전세사기 여파와 2023년 5월부터 꾸준히 오르는 전셋값에 월세 비중이 늘어난 것으로 풀이된다.
부동산R114의 월세 지수도 연일 역대 최고치(2024년 4분기 기준 144.47p)를 기록 중이다.
서울 아파트 월세 거래의 계약유형별 비중을 보면 갱신계약 비중이 2023년 3분기 이후 증가세인 것으로 확인된다. 특히 2024년 4분기 갱신계약 비중이 31.6% 나타내면서 최근 2년 만에 최대를 찍었다.
2023~2024년 전월세 거래가 가장 많은 송파구 '헬리오시티'를 보면, 2023년 1분기 8억 1000만 원이었던 평균 전세보증금은 2024년 4분기 10억 원으로 약 23% 증가했다.
전세보증금의 80%를 대출받는다고 가정하면, 매월 244만 원의 이자가 300만 원까지 늘어나게 된 셈이다(2023~2024년 시중 5대 은행 전세자금 대출 금리 평균인 4.5% 적용).
반면 동일 단지·면적의 월세(갱신계약)는 보증금은 큰 변동이 없었으나 126만 원이던 월세가 178만 원까지 상승하면서 40%가량이 증가했다. 월세가 급등했음에도 갱신계약 비중의 증가 속도가 더욱 가속화되고 있다.
김지연 부동산R114 리서치팀 책임연구원은 "높아진 전셋값의 문턱을 넘지 못한 수요자들이 신규 전세 및 월세 계약을 체결하기보다 계약갱신 청구권을 활용해 기존 월세 계약을 연장한 영향이 큰 것으로 파악된다"고 말했다.
'전세의 월세화'는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다. 전세대출보증 비율을 현행 100%에서 90%로 인하하는 등의 규제가 예고되면서 전세대출 한도가 축소될 것이라는 우려와 함께, 가계대출 규제 강화 기조 속에서 2025년 수도권 신축 아파트 입주 물량 부족 문제까지 더해지면서 전세가가 상승한 영향이다.
김 책임연구원은 "전셋값이 상승함에 따라 전세 보증금 마련이 어려워지게 되면 수요는 자연스레 순수 전세보다는 반전세나 월세로 전환될 수밖에 없다"고 덧붙였다.
junoo5683@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