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레미콘 가격 내달 '담판' 짓는다…2600원 놓고 '공방' 예고
9차 협상서 '9만 3000원' vs '9만400원'…10차 협상 주목
개별 협상 땐 구매 가격 편차 발생, 중견사 경쟁력 약화 우려
- 조용훈 기자
(세종=뉴스1) 조용훈 기자 = 수도권 레미콘 가격 협상이 난항을 겪고 있는 가운데 건설 업계와 레미콘 업계가 다음달 2025년도 레미콘 가격 협상을 위한 제10차 협상에 나선다. 특히 부동산 경기 침체로 위기에 직면한 건설 업계는 이번 레미콘 가격 협상 결과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27일 건설 업계와 레미콘 업계에 따르면 앞서 24일 건설사 자재 구매 담당자 모임인 대한건설자재직협의회(건자회)와 수도권 레미콘 제조사 실무자로 구성된 영우회는 제9차 협상을 진행했지만 가격 인하 폭을 놓고 입장차를 좁히지 못했다.
제9차 1차 협상에서 영우회는 현재 수도권 기준 루베(㎥)당 9만 3700원인 단가를 '2년간 동결'하자고 제안했으나, 건자회가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휴정 후 재개된 2차 협상에서 영우회는 700원 인하한 9만 3000원을, 건자회는 3300원 낮춘 9만 400원을 각각 제안했으나, 양측은 결국 합의점을 찾지 못하고 협상은 결렬됐다.
이후 건자회는 다음날인 25일 총회를 열고, 업계 의견을 수렴했다. 결국 양측의 간극은 2600원인 셈이다. 회의에는 국내 도급 순위 50위 이내의 건설사 30곳이 참석했다. 건자회 관계자는 "협상 중단과 추가 협상 지속 등 다양한 의견이 제시됐으나 최종적으로 추가 협의를 진행하기로 합의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3월 중 제10차 협상에 나설 방침"이라고 말했다.
영우회 관계자는 "건자회에서 추가 협상 제안이 들어오면 이를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응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말했다.
건설 업계는 공사비 상승으로 인한 부담을 덜기 위해 레미콘 가격 인하가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반면 레미콘 업계는 원자재 가격 상승과 운영비 증가로 인해 큰 폭의 가격 인하가 어렵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협상이 지연되면서 건설 업계의 우려는 갈수록 커지고 있다. 건설 업계 관계자는 "레미콘 가격 상승은 단순히 한 가지 자재 비용 증가로 끝나지 않고 건설 산업 전반에 연쇄적인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만약 협상 결렬이 장기화할 경우, 각 건설사는 개별적으로 레미콘사와 협상을 진행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할 수 있다. 이는 건설사의 규모와 협상력에 따라 레미콘 구매 가격의 편차를 발생시킨다. 중소 건설사들의 경쟁력 약화로 이어질 우려가 있다.
개별 협상으로 인한 가격 상승은 전반적인 공사비 증가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또한 협상 결렬 시 해당 건설 현장의 레미콘 공급 중단으로 인한 공사 지연이 발생할 수 있고, 개별 협상 과정에서 레미콘사들 간의 담합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렵다.
레미콘 업계는 환율 상승에 따른 생산 원가 증가, 운송비, 인건비, 전기료 등 운영비 증가 등을 이유로 가격 인하가 어렵다는 입장이다. 레미콘 업계 관계자는 "우리 업계도 가격 인하의 필요성을 이해하지만, 현재 상황에서는 쉽지 않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유연탄 가격이 일부 하락했지만, 이는 다른 비용 증가로 상쇄되고 있는 실정"이라고 설명했다. 또 다른 레미콘 업계 관계자는 "8차 협상 때 1400원 인상에서 9차 협상에서 700원 인하로 대폭 양보했다"며 난색을 표했다.
한편 국토교통부는 레미콘 수급 불안정이 주택 공급과 각종 인프라 건설에 미칠 수 있는 직접적인 영향을 고려해 업계 간 협상 진행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국토부 관계자는 "레미콘은 건설공사의 핵심 자재인 만큼 협상 진행 상황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있다"며, "향후 협상 상황에 따라 레미콘 수급 불안 우려가 있을 경우 수급 안정화 협의체 개최 등을 검토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joyonghun@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