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산 떠나고 세종? 청와대?…'대통령 집무실' 어디로
'대권 주자' 이재명·김동연·이준석도 '세종 이전' 강조
'하락세' 세종 부동산도 꿈틀…"청와대가 현실적" 의견도
- 오현주 기자
(서울=뉴스1) 오현주 기자 = 윤석열 전 대통령이 4일 파면되면서 차기 대통령 집무실의 이전 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윤석열 정부 대통령실이 위치한 용산을 떠나 세종시 또는 청와대로 재이전될 것이라는 관측이 잇따라 나오고 있어서다.
8일 정치권에 따르면 6월 3일로 잠정 결정된 조기대선 이후 대통령실의 세종 이전에 대한 기대감이 나오고 있다. 현재 더불어민주당은 노무현 전 대통령이 추진했지만 불발된 세종시 행정수도 이전을 이재명 대표 지시로 재추진하고 있다.
앞서 이 대표는 3월초 지도부 회의에서도 대통령실의 세종 이전 가능성을 검토하라고 했다. 조기 대선을 염두에 두고 세종시 이전을 언급한 것이다.
그는 지난 대선에서도 행정수도 명문화 개헌 추진, 대통령 세종 집무실 설치를 공약으로 제시했다.
세종시 이전은 수도권 과밀화를 해소하는 동시에, 역대 대선에서 캐스팅보트 역할을 해온 충청권 민심을 확보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전 가능성이 높은 곳이다.
다른 차기 대권 주자들도 대통령 집무실의 세종 이전 필요성을 언급하고 있다. 김동연 경기지사는 2월 말 자신의 유튜브 채널에서 "불법으로 쌓아 올린 '내란 소굴' 용산에서 하루빨리 벗어나야 한다"며 대통령실의 세종시 이전을 제안했다.
이준석 개혁신당 의원도 3월 중순 대전을 방문해 "청와대, 여의도 국회를 합친 명품 집무실을 구축해 세종시를 국민통합의 장으로 만들자"고 말했다.
이러한 기대감에 하락세를 걷던 세종 부동산도 다시 꿈틀거리고 있다. KB부동산원의 주간 아파트 시장 동향에 따르면 3월 한 달간 주간 변동률은 △3월 10일(-0.07%) △3월 17일(-0.06%) △3월 24일(-0.04%) △3월 31일(0.00%)을 기록했다. 하락에서 보합으로 바뀐 것이다.
다만 현실적으로 대통령 집무실의 세종 이전이 쉽지 않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를 위해 개헌 등 복잡한 법적 절차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우세하다. 앞서 헌법재판소는 2004년 '대한민국 수도는 서울'이라는 관습 헌법을 내세워 신행정수도의 건설을 위한 특별조치법을 위헌으로 판단했다.
따라서 차기 대통령의 임기 내 집무실 이전이 어려울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이러한 점에서 청와대 재이전도 거론되고 있다. 윤석열 정부가 청와대를 외부에 개방하면서 내부 구조가 공개되긴 했지만, 짧은 대선 준비기간(60일)을 고려해 청와대에서 임기를 시작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부동산 업계 관계자는 "세종으로 이전했을 때 차기 대통령의 임기 안에 개헌 등 관련 과정이 완료되지 않을 수도 있다"며 "국민적 공감대가 형성됐다는 가정 하에 현실성을 감안한다면 청와대로 다시 돌아올 확률이 상당히 높다"고 말했다.
woobi123@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