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트윈 국토정보 구축'…5838억원 규모 국가공간정보정책 수립
지하공간 통합지도는 고도화로 지하 안전관리 강화
- 김동규 기자
(서울=뉴스1) 김동규 기자 = 국토교통부sms 디지털 트윈국토 조기실현을 위한 '2025년 국가공간정보정책 시행계획'을 수립했다고 2일 밝혔다.
시행계획은 5년 단위 기본계획의 실행력 확보와 정책 일관성 확보를 위해 매년 수립하는 계획으로 각 부처 및 지자체의 기관별 시행계획을 바탕으로 계획안을 마련한다. 국가공간정보위원회(위원장 국토부 장관)의 심의를 거쳐 수립된다.
특히 이번에는 지반침하 이력, 연약지반 정보 등 다양한 지하정보를 포함해 위험 분석에 기여하는 방향으로 지하공간통합지도를 고도화할 계획이다.
올해는 전체 1209개 사업에 약 5838억 원 규모의 공간정보 정책이 추진된다. 중앙정부(104개 사업)에서 약 3819억 원, 자자체(1105개 사업)에서 약 2019억 원을 각각 투자할 예정이다.
이 계획은 제7차 국가공간정보정책 기본계획(2023~2027년)의 4대 전략 아래 연차별 실적을 점검하고 디지털 트윈 구축, 플랫폼 고도화, 인재양성, 기술개발 등을 지속적으로 추진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올해는 먼저 디지털 트윈 구축·활용체계 마련에 68%의 예산과 54%의 사업이 집중됐다. 유통·활용 활성화 전략에 19%의 예산과 44%의 사업이 분포돼 있다.
구체적으로 디지털 트윈 구축·활용체계 마련 분야에서는 디지털 트윈국토의 체계적인 확산 및 융복합 활용을 촉진하기 위한 데이터(DB)구축, 표준 마련 등 3993억 원 규모의 사업이 추진된다.
공간정보 유통·활용 활성화 분야에서는 고정밀 공간정보의 수집·관리·유통을 지원하고 접근성을 제고하기 위한 플랫폼 개선 및 유지 관리 등 1095억 원 규모의 사업이 추진된다.
산업 활성화 및 정책 기반 마련 분야에서는 산업 성장 기반 마련, 혁신기술 개발, 보안 규제를 비롯한 각종 제도개선 등 750억 원 규모의 사업이 추진된다.
디지털 트윈국토 플랫폼 2단계 고도화는 인공지능(AI), 클라우드 네이티브, 양자암호통신기술 등 첨단기술의 발전에 따라 대용량 3D 공간정보에 대한 수요와 활용 가능성이 높아진 상황에 초점을 맞췄다.
특히 이번 고도화를 통해 Geo-AI가 플랫폼에 적용되면 단순한 지도 검색이 아니라 인공지능(AI)이 텍스트 질문을 이해하고 답변을 지도 기반으로 표시해주는 ’똑똑한 공간정보 제공‘이 가능해진다.
또 드론 촬영 영상 등을 AI가 분석해 불법 건축물, 쓰레기 투기 등을 자동으로 발견해 지자체 공무원의 신속한 현장 대응을 지원하는 등의 공간정보 자동 분석 서비스도 가능해질 전망이다.
지하공간통합지도에는 지반침하 이력, 공동정보, 건설공사 정보, 홍수·범람 이력 등 데이터를 연계하고, 지반 침하와의 상관관계 분석 등 지반 침하 위험 분석에 참고할 수 있도록 지하공간 통합지도를 고도화할 예정이다. 정확도 개선을 위해 상·하수도 시설물 실측을 위한 예산 지원도 지속 추진할 계획이다.
보안상의 이유로 종이지도로 제공되고 있었던 통합지도에 대용량 파일 전송 시스템을 도입하고, 보안 솔루션을 적용해 종이지도가 아닌 온라인 데이터 파일로 제공할 수 있는 방안도 검토할 예정이다.
박상우 국토부 장관은 "공간정보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핵심 인프라로 로봇·도심항공교통(UAM) 등이 상용화되기 위해서는 고정밀 3차원 공간정보가 먼저 구축돼야 한다"며 "적극적인 투자와 지원을 통해 국민들이 보다 편리하고 안전한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정부와 민간이 함께 힘을 모을 것"이라고 말했다.
dkim@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