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웃으면서 했던 말이 현실로"…권한대행 맡은 교육부 '당혹'
의대·AI 교과서 등 산적한 자체 과제 뒷전 우려도
"인력 보강해 안정적으로 관리할 것" 의지 드러내
- 이유진 기자, 권형진 교육전문기자, 장성희 기자
(서울=뉴스1) 이유진 장성희 기자 권형진 교육전문기자 = "웃으면서 했던 말이 씨가 됐네요. 인력을 보강해서 원활하게 국정이 운영될 수 있도록 준비해야죠."
한덕수 전 국무총리와 최상목 전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의 잇따른 사퇴로 국무위원 서열 4위인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2일 대통령 권한대행 업무를 시작하자 교육부는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면서도 국정 안정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는 의지를 나타냈다.
12·3 비상계엄 사태 이후 잇따른 탄핵 정국에 최 전 부총리의 다음 순번인 이 부총리가 대통령 권한대행을 맡을 수도 있다는 가능성이 일각에서 제기되긴 했지만, 직원들도 우스갯소리로 넘겼을 뿐 현실이 될 줄은 몰랐다고 한다.
A 관계자는 "근로자의 날과 연휴로 휴가자도 많아 (권한대행 체제를) 어떻게 할지 잘 모르는 직원들도 많을 것"이라며 "부총리가 권한대행이 됐기 때문에 인력 보강과 같은 부분이 원활히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서이초 사건 등 교육부는 이런 (중요) 사안이나 변화가 생길 때마다 그에 맞게 조직을 운영하고 인력을 구성해 왔다"며 "12·3 비상계엄 사태 등 일련의 과정을 거치며 교육부도 나름의 플랜(계획)을 짜서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준비해 왔다. 크게 문제는 없을 것"이라고 했다.
교육부 관계자 B 씨는 나아가 "대선이 한 달밖에 남지 않아서 우리(교육부)가 안정적으로 관리하면 된다"며 "대선 국면이니까 차분히 해가면 될 것 같다. 그 정도 역량은 있다"고 자신감을 내비쳤다.
일각에선 교육부가 전체 정부 부처를 총괄해 본 경험이 없고 기획재정부만큼 부처 규모가 크지 않은 만큼 외교와 통상 등 경제 현안을 잘 챙길 수 있겠냐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올해 2월 28일 기준 기재부 현원은 1095명, 교육부는 696명이다.
교육부는 대통령 권한대행 업무 경험이 있는 국무조정실과 기획재정부의 지원을 받아 운영에 차질이 없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교육부 관계자 C 씨는 "(권한대행 업무) 노하우와 경험이 있는 기재부와 국조실이 많이 도와준다"며 "우리가 벤치마킹할 대상도 있고 두 부처가 잘 도와주고 있어서 공조 체제를 잘 만들어서 부처 간 협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 부처를 아우르는 주관 부처가 됨에 따라 교육부가 그간 중점적으로 도맡아 왔던 의대 현안과 인공지능(AI) 디지털 교과서 등 주요 정책들이 뒷전으로 밀릴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당장 대학들은 지난달 30일까지 수업에 복귀하지 않은 다수 의대생들에 대해 학칙에 따라 엄격히 유급하기로 했지만 아직 처리된 상황은 아니다.
이처럼 교육부 자체에도 산적한 과제들이 많은데, 대통령 권한대행직을 도맡으면서 업무 과중이 더욱 심해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그럼에도 교육부는 그간 추진해 왔던 교육 개혁 과제들은 변함없이 추진해 갈 것이라는 뜻을 강조했다. 교육부 D 관계자는 "개혁 과제들은 예정대로 다 진행할 것이고 큰 변화는 없을 것"이라고 했다.
한편 교육부가 권한대행 업무 지원단 구성은 타 부처로부터 인적 지원을 받는 등 여러 절차를 거쳐야 해서 다소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이 권한대행은 이날 첫 국무회의에서 "헌법이 부여한 책무에 따라 국가 안보와 국민 안전을 굳건히 지키고, 새로운 대통령을 선출하는 선거 전 과정이 투명하게 관리될 수 있도록 빈틈없이 지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real@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