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파티카지노

의대생 유급·제적 규모 오늘 발표…트리플링 대책 마련 '비상'

1만여명 이상 유급 전망…의대협, 고발·자퇴로 맞대응
26학번 우선 수강신청, 대규모 강의실 확보 등 대학 '고심'

7일 서울시내 한 의과대학의 모습. 2025.5.7/뉴스1 ⓒ News1 황기선 기자

(서울=뉴스1) 이유진 기자 = 교육부가 전국 40개 의과대학으로부터 취합한 유급과 제적 확정 처분 현황을 9일 발표한다.

이로써 등록 후 수업에 참여하지 않은 의대생 1만여 명의 유급이 확정돼 유급된 24·25학번과 내년도 신입생인 26학번이 함께 수업을 듣는 '트리플링'은 현실이 됐다. 대학들은 트리플링에 대비한 대책 마련에 분주해질 예정이다.

교육부는 지난 7일 각 의대로부터 유급 기준일과 유급·제적 대상 인원, 유급 사정위원회 개최일 등을 비롯한 학사 운영 계획을 제출받았다.

앞서 교육부는 지난달 30일을 기점으로 유급이 확정되면 해당 학생은 올해 복귀할 수 없다는 방침을 재확인하며 대학들에 복귀하지 않는 학생들에 대한 유급·제적 처분 방침을 확정해 제출하라고 요청했다.

이에 대부분 대학이 7일까지 명단을 확정해 제출했고, 전국 의대생 총 1만 9760명 가운데 1만 명 이상이 집단 유급될 전망이다.

의대생 수업 복귀율은 지난달 17일 기준 25.9%로, 교육부가 정한 시한까지 의대생들의 전향적인 수업 복귀 움직임은 나타나지 않았다.

다만 제적 위기에 처한 학생들과 일부만이 추가로 복귀를 택하며, 복귀율은 30% 이상이 될 것으로 관측돼 유급 규모는 1만 명 이상이 될 것으로 보인다.

다른 대학들과 달리 '한 달 이상 무단결석 시 제적'이라는 학칙에 따라 제적 통보를 받았던 순천향대·인제대·을지대·차의과대·건양대 5곳 학생들 대부분이 제적을 피하기 위해 수업에 복귀하면서 제적되는 인원은 많지 않을 것이란 관측이다.

다만 차의대 30여 명과 인제대 의대생 일부는 복귀하지 않고 강경하게 수업을 거부해 학교로부터 실제 제적 통보를 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제적 통보를 받은 차의대생이 학교 홈페이지의 학적 표시란에 '재적' 대신 빈칸이 뜬 것으로 전해지자, 학생들 사이에선 의대생 단체인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의대협)이 나설 차례라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의대협도 의대생들에 대한 제적과 유급 확정이 임박하자 자퇴와 교육부 관계자 고발로 맞대응을 예고했다.

의대협은 의대생 제적이 확정될 경우엔 의대생 대표 40인이 작성해 둔 자퇴서를 제출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또 이날 오전 11시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를 방문해 오석환 교육부 차관과 김홍순 교육부 의대교육지원관을 고발할 계획이다. 교육부가 학칙을 자의적으로 재해석해 압박하는 등 대학들이 자체적으로 정한 규정을 무력화하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트리플링이 현실화하면서 대학들은 대책 마련에 비상이 걸렸다. 동아대와 전북대는 이미 학칙 개정을 통해 26학번에게 수강신청 우선권을 주는 방안을 마련했다.

다른 대학들 역시 대규모 인원이 동시에 수업을 들어야 하는 만큼 고심이 깊어졌다. 서울의 한 사립대 총장은 "예과 과목은 교양 위주인 만큼 대규모 인원을 한 번에 수용할 수 있는 강의실을 마련해 최대한 동시 수업에 차질이 없도록 할 것"이라고 전했다.

real@dqdt.shop

바오슬롯 프리미어카지노 소닉카지노 산타카지노 토르카지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