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현직 총장·교육감 "지역 거점대, 서울대 수준으로 만들자"
- 장성희 기자
(서울=뉴스1) 장성희 기자 = 전·현직 국가거점국립대 총장·교육감들이 20일 차기 정부가 국가 전략 차원에서 '서울대 10개 만들기'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국대학교육협의회(대교협) 회장인 양오봉 전북대 총장을 비롯한 전·현직 총장·교육감 26명은 이날 오전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서울대 10개 만들기는 (대학 서열화, 지역 소멸 등) 국가적 난제 중 난제를 풀어가는 전략적 수단이자 선순환의 첫 고리가 될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이들은 "강고한 대입 경쟁 체제와 대학 서열화로 인해 유·초·중등 교육이 왜곡돼 왔고 학생·교사·학부모를 포함한 모든 교육 주체가 고통으로 내몰리고 있다"며 "'초등 의대반', '7세 고시반', 심지어 '5세 고시반'까지 등장하는 등 대한민국에서 출산은 자녀의 입시 경쟁과 과도한 사교육비 지출을 각오해야만 하는 일이 됐다"고 지적했다.
이어 "서울 소재 몇 개 대학으로 향하는 대입 병목 현상이 입시 지옥의 실체"라며 "지역 인재의 수도권 집중으로 인해 지역 기업은 구인난을 겪고 지역의 기업 유치는 더욱 어려워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들은 이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지역의 9개 거점 국립대를 중심으로 서울대 수준에 근접하도록 하고, 서울대와 협력 체제를 만들어 캘리포니아대학 체제(UC system)와 같은 동반 성장 구조를 만들자"고 주장했다.
이어 "(이러한 시스템이 정착되면) 입시 경쟁의 압력이 해소돼 초·중등 교육 현장에서 AI 시대 창의적 사고력 교육, 전인교육의 숨통이 트일 것"이라며 "지역 인재의 '수도권 블랙홀' 현상이 크게 완화돼 지역 우수 인재가 지역 대학에서 교육받고 지역에 정주하면서 지역 발전의 주축이 돼 지역 소멸을 막는 주역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이번 제안에 이름을 올린 현직은 충북대·전북대·강원대·전남대·제주대·충남대 총장이다. 교육감 중에선 경남·광주·부산·세종·인천·전북·울산·제주·충남 교육감이 이름을 올렸다.
grown@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