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파티카지노

지난해 한반도 87회 '흔들'…내륙에선 경북에서 '최다'

전년비교 18% 감소
최대규모는 4.8 부안 지진…관측사상 16번째 규모

부산 동래구 부산119안전체험관에서 초등학생들이 지진 대피 체험 교육을 받고 있다. 2025.1.8/뉴스1 ⓒ News1 윤일지 기자

(서울=뉴스1) 황덕현 기후환경전문기자 = 지난해 국내에서 발생한 규모 2.0 이상 지진은 총 87회로, 과거 연평균(72.2회)보다 많았고, 직전인 2023년(106회)보다는 18% 줄었다.

기상청은 지난해 한반도에서 발생한 지진 특성을 수록한 '2024 지진 연보'를 발간했다고 20일 밝혔다.

지난해 규모 3.0 이상 지진은 7회 발생했다. '지진을 느꼈다'는 시민 신고가 행정안전부에 접수된 '체감 지진'은 11회였다.

지난 5년간 지진은 지속해서 증가세를 보이다가 지난해 크게 줄었다. 2020년엔 68회 발생했고, 이후 70회, 77회로 증가했다. 2023년엔 동해해역 연속지진과 경주지진, 장수지진 등 106회까지 늘었다.

내륙 발생 지진은 19회였다. 경북이 7회로 가장 잦았고, 전북 5회, 경남 3회, 경기·충남·대전·전남 각 1회 순이다. 서울이나 인천, 강원 등에서는 관측되지 않았다.

지난해 최대 규모 지진은 6월 12일 전북 부안에서 발생한 규모 4.8 지진이다. 계기 관측이 시작한 1978년 이래 전북 지역에서 규모가 가장 컸고 국내 지진 중에서는 16번째로 큰 규모였다.

이 지진은 북동-남서 방향의 주향이동단층 운동으로 인해 발생한 것으로 분석됐다.

기상청은 부안지진 관측 후 9초 만에 긴급재난문자를 전 국민에게 발송하는 등 대응력을 높였다고 설명했다.

ace@dqdt.shop

바오슬롯 프리미어카지노 소닉카지노 산타카지노 토르카지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