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단체 "국민 10명 중 6명 차기정부 최우선과제 '기후위기 대응' 꼽아"
기후정치바람, 시민 4482명 기후위기 인식조사 발표
응답자 60.4% "헌법 개정해 기후대응 국가책임 명시해야"
- 황덕현 기후환경전문기자
(서울=뉴스1) 황덕현 기후환경전문기자 = 제21대 대통령 선거가 약 1달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시민 10명 중 6명은 '기후위기 대응'을 다음 정부의 최우선 과제로 꼽았다는 여론 조사가 나왔다. 지난 총선에 이어 이번 대선에 드러난 '기후 유권자'들은 원전보다 재생에너지를 선호하고, 피해당사자의 정책 참여를 요구하며, 정부의 탄소중립 책임을 헌법에 명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7일 기후정치바람은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5년 기후위기 국민인식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기후정치바람은 정치권에서 기후 정책을 다루기를 요구하는 의미에서 로컬에너지랩과 녹색전환연구소, 더가능연구소 등이 연대한 싱크탱크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국 18세 이상 시민 4482명 중 62.3%는 '향후 출범할 정부는 기후위기 대응을 최우선 과제로 삼아야 한다'고 응답했다. 또 전체의 57.0%는 기후위기 대응 전담 부처를 부총리급으로 격상해야 한다고 봤다.
헌법 개정을 통해 탄소중립과 기후위기 대응에 대한 국가 책임을 명시해야 한다는 응답도 60.4%에 달했다. 국회 입법과정에 청소년과 아동의 의견을 반영해야 한다는 주장은 74.9%로 나타났다.
'기후 시민'의 존재가 더욱 뚜렷해졌다는 게 기후정치바람 주장이다. 기후위기를 인식하고 대응을 실천하며 정책 변화를 요구하는 시민은 전체의 50.9%로 나타났고, 이 가운데 민주주의 원칙을 중시하고 정치에 참여하는 '기후민주시민'은 36.0%였다. 특히 여성과 60대 남성, 호남 지역에서 이 같은 성향이 강하게 나타났다.
서복경 더가능연구소 대표는 7일 여의도 전경련회관에서 열린 간담회에서 "기후민주시민은 기후위기의 피해자이자 정책 결정에 목소리를 낼 권리를 가진 주체"라며 "이들은 더 이상 수용자가 아니라 정부 정책을 움직이는 힘"이라고 주장했다.
기후위기의 체감도도 높았다. 전체 응답자의 64.7%는 지난 1년간 폭염을 앓았으며 가뭄과산불, 홍수를 경험한 시민은 각각 19.6%, 16.9%, 15.7%로 나타났다.
기후변화는 재산에도 영향을 미쳤다. 응답자 68.3%는 기후위기가 자산가치에 영향을 미친다고 봤다.
에너지 정책과 관련해서는 응답자의 58.8%가 '재생에너지 확대'를 전력 분야 온실가스 감축의 최우선 과제로 꼽았다. 원전 신규 건설과 노후 원전 수명 연장에 대해서는 전반적으로 부정적인 응답이 더 많았다.
특히 여성과 기후민주시민 그룹에서는 재생에너지에 대한 선호도가 더 뚜렷하게 나타났다. 피해 당사자의 정책 참여 요구도 확인됐다.
이유진 녹색전환연구소 소장은 "한국의 전력 시스템은 여전히 원전 중심으로 설계돼 있지만, 시민들은 재생에너지 확대와 지역 분산형 전환을 요구하고 있다"며 "기후위기 대응이 현실 정책으로 연결되기 위해서는 시민 참여 기반의 정의로운 전환이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이 조사는 기후정치바람의 주관 아래 메타보이스가 조사 수행을 맡았다. 4월 7~30일 온라인 방식으로 진행됐고, 전국 단위 표본오차는 ±1.5%포인트(95% 신뢰수준)다.
ace@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