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에 '건강총괄관' 생긴다…민간 전문가가 건강 정책 자문
"시정 전반에 건강 관점 반영"…위촉직 신설
규제총괄관, 브랜드총괄관에 이어 세 번째
- 이설 기자
(서울=뉴스1) 이설 기자 = 서울시가 건강 분야 정책을 자문할 민간 전문가를 '건강총괄관'으로 위촉한다. 서울시가 민간 위촉직인 총괄관을 임명하는 건 규제총괄관, 브랜드총괄관에 이은 세 번째로 '건강 도시 서울'을 중점적으로 추진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것으로 풀이된다.
27일 서울시에 따르면 시는 최근 건강총괄관 임명 등 내용을 담은 '서울시 시민건강관리 기본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을 입법예고했다.
서울시는 "현장 경험과 전문지식을 갖춘 건강 분야 민간전문가가 참여해 시정 전반에 건강 관점을 반영한 정책 수립을 지원할 수 있도록 '서울건강총괄관' 위촉 및 운영 관련 사항을 규정한다"고 개정 이유를 설명했다.
건강총괄관은 민간(기업, 언론, 연구기관, 교육기관, 시민단체 등)에서 건강 및 보건의료 관련 업무에 전문적으로 근무한 경력이 있는 사람, 건강 및 보건·의료 관련 석사, 박사학위 취득 후 관련 분야에 연구경력이 있는 사람 등을 대상으로 모집한다.
건강총괄관으로 임명되면 시정 전반에 걸친 시민 건강 관련 정책 발굴 및 개선, 시민의 생애주기별 건강 관리 및 증진에 관한 정책, 취약계층 지원 등 건강복지정책, 지속 가능하고 건강한 환경 조성 전략 등에 대해 자문하게 된다.
건강총괄관은 비상근직이며 임기는 2년이고, 연임도 가능하다.
서울시는 지난해 처음 건강 정책 분야 홍보대사로 모델 겸 방송인 한혜진씨를 위촉하는 등 '건강 도시' 알리기에 역점을 두고 있다. 또 서울시의 스마트 건강관리 플랫폼 '손목 닥터 9988' 이용자가 최근 200만명을 돌파하는 등 서울시의 건강 정책도 흥행하고 있다.
서울시 관계자는 "서울시의 건강 정책을 더욱 강화할 건강총괄관 위촉과 관련한 얘기가 3월 말부터 나왔고 입법예고 된 상황"이라고 전했다.
sseol@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