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둔고립 정책, 대부분 청년 일자리 지원…청소년 정책 필요"
은둔고립자지원기관협의회 제3회 포럼 개최
- 박응진 기자
(서울=뉴스1) 박응진 기자 = 은둔고립 정책이 대부분 청년 일자리 지원에 초점을 맞추고 있기 때문에 청소년에 맞는 정책이 필요하다는 제언이 나왔다.
강정현 노원구 청소년 상담복지센터 팀장은 16일 오후 서울 창동청소년수련관에서 열린 한국은둔고립자지원기관협의회 제3회 포럼에 참석해 이처럼 밝혔다.
강 팀장은 △은둔고립이 어느 날 갑자기 발생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장기적·지속적인 관심을 기울여 변화를 유도해야 한다는 점 △은둔·고립은 개인·가족·학교·또래 관계 등이 얽힌 복합적 문제라는 점 △가족이 문제의 원인이기도 하지만 가족이 은둔생활을 극복시키는 데 중요한 자원이기도 하기 때문에 부모교육을 적극 실시해야 한다는 점 △은둔이 고착화될수록 스스로 도움을 요청하기 어렵기 때문에 가족과 학교, 전문기관이 함께 개입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강 팀장은 "은둔고립 청소년 문제는 더 이상 개인이나 가정의 문제가 아닌 사회적 문제"라며 "운둔이 시작되는 초기에 부모와 교사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여성가족부의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은둔고립 청소년은 14만 명으로, 이 중 24%가 10대 때부터 은둔고립을 경험했다.
김재희 광주광역시 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장은 "청소년복지지원법에 은둔고립 청소년의 개념과 지원사항을 추가하고, 보건복지부 가족돌봄 위기아동·청년(0~34세) 지원법 시행에 따른 연령 중복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경준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명예연구위원은 "실무자들은 개입 최우선 대상으로 가족을 꼽고 있으며 가장 필요한 서비스로 청소년에 대한 심리상담과 가족교육을 꼽고 있다"며 "조기발견을 위해 정부가 전문인력과 예산 배정이 필요하며 은둔고립 청소년과 부모와 소통 능력을 갖춘 전문인력 양성이 시급하다"고 덧붙였다.
pej86@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