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파티카지노

공공조달까지 노린 보이스피싱…서울시 산하기관도 당했다

"성과 홍보하자"며 연락…수탁업체에 실제 기관 사칭
용역명 언급하며 접근…나라장터 공개정보 활용 정황

ⓒ News1 DB

(서울=뉴스1) 한지명 전준우 기자 = "기관에서 직접 연락이 왔어요. 수행한 용역을 홍보하자고 하더라고요. 용역명까지 정확히 말하길래 진짜인 줄 알았죠. 그런데 확인해 보니, 그 기관은 계약 이후 업체에 연락하지 않는다고 하더라고요."

서울시 산하 A 공공기관과 단기 용역 계약을 맺은 중소 수탁업체 대표 B씨는 4월 말경, 한 통의 전화를 받았다. 발신자는 자신을 A 공공기관 관계자라고 소개했고, B씨가 수행 중인 용역의 명칭과 계약 시기까지 정확히 언급했다. 이어 "성과 홍보를 함께 하자"며 연락한 이유를 설명했다.

하지만 이 기관은 계약 체결 이후 과제책임자 외에는 외부 업체와 직접 연락하지 않는 내부 원칙을 두고 있었다. B씨는 곧바로 이상함을 감지했고, 기관 측에 확인한 결과 해당 연락은 기관과 무관한 것으로 드러났다.

한 달여 뒤인 5월 중순, A 공공기관과 용역 계약을 맺은 다른 중소업체에도 유사한 방식의 연락이 걸려왔다. 상대는 "용역이 잘 마무리돼 감사하다"며, 농협 등 실제 은행명을 언급하며 결과를 함께 홍보하고 싶다고 제안했다.

해당 용역은 아직 진행 중이었지만, 상대는 용역명과 기관명을 정확히 언급하며 실제 관계자인 것처럼 접근했다. 전화를 받은 직원이 대표에게 내용을 전달했고, 대표는 기관에 확인한 후 사칭임을 인지했다.

기관 측은 해당 연락들이 외부 유출이 아닌, 조달청 '나라장터' 계약정보공개시스템에 등록된 정보를 기반으로 이루어졌을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다. 실제로 나라장터 시스템에서는 수요기관명, 계약명, 낙찰업체, 계약일자, 금액, 사업자등록번호 등 주요 정보가 로그인 없이 열람 가능하다.

기관 관계자는 "정확한 용역명을 제시하며 연락이 오면 현장에서는 실제 기관에서 온 전화로 오해할 수 있다"며 "특히 실무자가 응대할 경우 자료 제공 등으로 이어질 수가 있다"고 우려했다.

이 같은 공공기관 사칭 수법은 단순히 전화번호를 위조하거나 특정인 명의를 빌리는 방식이 아니라, 실제 계약 정보를 바탕으로 접근하며 정책 수행 맥락까지 흉내 내는 정교한 방식으로 진화하고 있다. 한 기관을 사칭해 중소업체에 접근하고, 실명과 과제명을 언급하며 '성과 활용' 등의 명분으로 신뢰를 유도하는 방식이다.

최근에는 공공기관을 사칭한 보이스피싱 시도가 계속 확인되고 있으며, 계약 정보 등 구체적인 데이터를 바탕으로 한 정교한 접근 방식이 늘고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조달청은 지난 2월 수요기관을 사칭해 낙찰업체에 접근한 사례를 확인했다. 상대는 '금융 한도 조정', '은행 협조'를 명분으로 전화를 걸었고, 조달청은 반복된 신고에 따라 나라장터에 주의 공지를 게시했다.

조달청 관계자는 "나라장터 입찰 결과를 열람한 뒤 낙찰 업체를 특정해 접근하는 방식"이라며 "공공조달과 관련해 어떠한 금융 요구도 하지 않는다. 의심스러운 연락은 즉시 해당 기관이나 경찰에 신고해 달라"고 당부했다.

hjm@dqdt.shop

바오슬롯 프리미어카지노 소닉카지노 산타카지노 토르카지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