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 대통령실·공관촌·비화폰서버 압수수색…尹퇴거 5일 만(종합)
특수단 20여 명, 대통령실서 대기 중…尹 체포방해 혐의 관련
검찰, 이상민 '내란 혐의' 대통령 안가 압수수색영장 반려
- 박혜연 기자, 김정률 기자
(서울=뉴스1) 박혜연 김정률 기자 = 12·3 비상계엄을 수사하는 경찰이 16일 윤석열 전 대통령과 김성훈 대통령경호처 차장의 체포영장 집행 방해 혐의와 관련해 대통령실 등에 대한 압수수색에 나섰다.
경찰청 국가수사본부 비상계엄 특별수사단은 이날 서울 용산구 대통령실과 한남동 공관촌에 대한 압수수색 영장 집행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경찰에 따르면 압수수색 대상은 비화폰 서버와 대통령실 및 경호처 사무실, 경호처장 공관 등이다. 경호처장 공관은 한남동 대통령 관저와 가까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뉴스1 취재를 종합하면 이날 오전 10시 30분 기준 경찰 특수단 수사관 등 20여 명이 대통령실에서 압수수색 영장 집행을 위해 대기하고 있다. 다만 경호처와 영장 집행 절차가 논의 중인지는 확인되지 않았다.
이상민 전 행정안전부 장관의 내란 혐의와 관련, 대통령 집무실 폐쇄회로(CC)TV도 압수수색 대상에 포함됐다.
경찰은 다만 "이 전 장관의 '내란' 혐의와 관련한 대통령 안전가옥 CCTV, 비화폰 서버 확인을 위해 최근 압수수색 영장을 3차례 신청했으나 모두 검찰에서 불청구했음을 알려드린다"고 밝혔다.
앞서 특수단은 지난해 12월부터 경호처 내 비화폰 서버에 대한 압수수색을 시도해왔지만 경호처가 형사소송법 110조·111조 등 '군사상 기밀, 공무상 기밀'을 이유로 대통령실과 경호처 경내 진입을 막아왔다. 김 차장은 경찰의 압수수색 저지를 주도하고 있는 인물이다.
윤 전 대통령 부부가 지난 11일 한남동 관저를 떠나 서초동 사저로 이사하고, 김 차장도 전날 사퇴 의사를 밝힌 것으로 알려지면서 특수단이 재차 압수수색을 시도한 것으로 보인다.
12·3 비상계엄 당시 윤 전 대통령과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 이 전 장관을 비롯해 민간인 신분이었던 노상원 전 정보사령관까지 경호처가 제공한 비화폰을 통해 소통한 것으로 알려졌다.
hypark@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