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 '저위험 권총' 내년 1410정 도입…2029년까지 1인 1정
내년부터 서울·부산 47개 경찰서에 1410정 보급…2029년 보급 완료 목표
기존 38구경 대비 10분의 1 수준 파괴력…"범인 제압 실효성 높여"
- 이기범 기자
(서울=뉴스1) 이기범 기자 = 경찰의 물리력 대응 강화를 위해 추진된 '저위험 권총'이 도입된다. 경찰은 내년 서울·부산을 시작으로 2029년까지 전 지역 경찰에 저위험 권총 보급을 완료한다는 계획이다.
경찰청은 내년부터 서울·부산 47개 경찰서에 총 1410정의 저위험 권총을 지급한다고 15일 밝혔다. 해당 경찰서는 사전 훈련을 거쳐 저위험 권총을 1년간 시범 운영할 계획이다.
이후 2027년부터 1급지 경찰서, 2028년 2~3급지 경찰서로 저위험 권총 보급을 확대해 2029년 1인 1총 지급을 완료할 예정이다.
저위험 권총은 살상력을 줄여 범인 제압 실효성을 높인 경찰 장비다. 기존의 38구경 리볼버 권총이나 테이저건이 피해 발생으로 인한 소송 연루 가능성, 실효성 문제 등으로 이용 빈도가 낮아 효과적인 범인 제압 수단으로 기능하지 못한다는 점에서 대안으로 여겨졌다.
저위험 권총의 위력은 35줄(J) 정도로, 38구경(360~380J)의 10분의 1 수준의 파괴력을 갖고 있다. 한국 성인 기준으로 허벅지를 관통하지 않고, 평균 6cm 이내로 박히는 수준이라고 한다.
사거리는 테이저건보다 3배 길며 권총 탄두는 플라스틱 재질이다. 기존 권총 대비 300g 정도 가벼운 550g 이하의 무게로 휴대하기 편하다. 격발 시 반동도 38구경 대비 30% 수준이어서 조준한 위치에 정확하게 맞힐 수 있다. 저위험탄 외에 공포탄과 9㎜ 보통탄(실탄)도 사용할 수 있다.
격발 시 소음도 BB탄총 정도로 매우 적은 수준이다.
아울러 총기 손잡이 부분에 삽입해 사격한 시간과 장소, 발사각과 수량, 탄의 종류를 자동으로 기록하는 '스마트 모듈'이 탑재돼 있다. 블랙박스 역할을 하는 스마트 모듈은 총기 사용 당시 상황을 정확하게 증명해 경찰의 과잉 대응 논란을 줄이는 데 효과적인 수단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레이저 포인터 등 명중률을 향상해 주는 부수 기자재를 장착할 수도 있다.
저위험 권총은 2022년부터 도입이 추진됐으며, 2023년 8월 이상동기 범죄가 성행하자 윤석열 전 대통령 지시로 본격적인 보급 절차가 이뤄졌다. 그러나 일부 성능이 목표치에 미달하는 결과가 나오면서 실제 보급은 지연됐다.
특히 경찰은 장거리에서도 명중률을 확보하는 데 주력해왔다. 정확도·분산도 부문에서 저위험 권총 설계 기준은 충족했지만, 국군 K5 권총 기준인 13.7m 4인치 내에 들어오는 것을 목표로 했다. 낙하 충격 시 오발 가능성도 도입이 지체된 이유 중 하나다.
경찰은 지난해 연말 성능 테스트 결과, 이 같은 목표치를 달성해 운용상 문제가 없다고 판단, 이번 도입을 추진한 것으로 전해졌다.
경찰청 관계자는 "저위험 권총은 총기가 없는 국가라는 한국 상황에 맞춰 살상용이 아닌 적당한 수준의 제압력만 갖춰 총기 사용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라며 "가벼운 탄환(플라스틱 탄환)으로 적정한 위력을 갖고, 명중력을 유지하기 위한 테스트를 지속해왔고 지난해 말 기준 통과가 됐다"고 말했다.
Ktiger@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