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유엔·G7 '러시아 규탄' 결의안 거부…'러 침공' 표현 반대
'우크라 영토보전·러군 철수' 담은 유엔 결의안 공동발의 불참
개전 3년 맞은 G7 공동성명에선 '러시아의 침공' 표현 거부
- 정지윤 기자
(서울=뉴스1) 정지윤 기자 =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전쟁 개전 3년을 맞아 유엔과 주요 7개국(G7)이 각각 발표할 공동 성명과 결의안에서 미국이 러시아를 규탄하는 내용을 담는 것을 거부하고 있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3명의 소식통은 20일(현지시간) 미국이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3년을 맞아 발표할 유엔 결의안 초안 공동 발의를 거부했다고 전했다.
이번 결의안은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영토에서 모든 군대를 즉시, 완전하게 무조건 철수해야 한다는 점을 골자로 한다. 결의안은 "유엔 헌장과 국제법에 따라 우크라이나에 대한 전쟁의 긴장을 완화하고 적대 행위를 조기에 중단, 평화적 해결을 촉구한다"고 주장했다.
50개국 이상의 유엔 회원국이 해당 결의안의 공동 발의에 참여했지만 미국의 이름은 빠졌다. 미국이 앞장서 러시아를 규탄하고 우크라이나에 대해 지지를 결집해 온 조 바이든 행정부와 정반대되는 행보다.
결의안 채택은 24일 열리는 유엔 총회에서 투표를 통해 결정된다. 유엔 결의안은 구속력은 없지만 정치적 무게를 지니고 있어 전쟁에 대한 세계의 입장을 나타내는 역할을 한다.
최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우크라이나를 배제한 채 러시아와 종전을 논의하면서 러시아에 대한 강한 비판을 자제하고 있다.
아울러 트럼프 행정부는 G7이 전쟁 3년을 맞아 발표할 공동 성명에 대해서도 '러시아의 침공'이라는 표현을 문제삼아 반기를 들었다고 파이낸셜타임스(FT)가 서방 관리들을 인용해 보도했다.
G7은 2022년 2월 24일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 전쟁이 발발한 이후 매년 이날마다 우크라이나를 지지하는 공동 성명을 발표해 왔다. 이들은 지금까지 발표된 공동 성명에서 '러시아의 침공'이라는 표현을 5차례 언급하며 전쟁의 책임 주체가 러시아임을 강조했다.
한 관계자는 "우리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사이에 구분이 있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들은 같지 않다"고 말했다. 이어 "미국은 그 단어를 막고 있지만 우리는 여전히 이 표현을 사용하고 있으며 합의를 희망한다"고 덧붙였다.
stopyun@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