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사드 잔당 충돌 1천명 사망·민간인 학살…과도정부 최대 위기
전 대통령 출신 종파 집단 거주지서 학살극…"민간인 최대 700명 사망"
'반군 리더' 임시대통령 "누구 책임인지 모두 알아…사실조사위 구성"
- 박우영 기자
(서울=뉴스1) 박우영 기자 = 시리아에서 정부군이 바샤르 알아사드 전 대통령 소속 종파의 민간인들을 대거 학살했다는 의혹이 나온 가운데 과도정부 대통령이 정부에 대한 신뢰와 국민 간 단합을 호소하고 나섰다.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아흐메드 알샤라 시리아 임시 대통령은 9일(현지시간) 다마스쿠스의 한 모스크에서 "국가적 통합과 민간 평화를 지켜야 한다"며 "정부가 생존 기반을 갖추고 있는 만큼 국민들이 안심하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알샤라 대통령의 이번 발언은 신정부 지지 세력과 축출된 알아사드 전 대통령의 충성파 간 충돌로 최대 1000명의 희생자가 발생한 가운데 나왔다. 시리아인권관측소(SOHR) 등 두 개의 전쟁 감시 단체에 따르면 한 주간 민간인을 포함한 수많은 사상자가 발생했다.
이날 알샤라 대통령의 발언에 앞서서도 라타키아·타르투스 지역에서 전투가 발생했다. 정부군은 아사드 전 정권에 충성하는 무장 세력에 대한 색출 작업에 나섰다.
SOHR은 "정부군이 드론, 탱크, 포병을 동원해 공격을 감행하고 있다"고 NYT에 전했다.
SOHR에 따르면 한주간 충돌로 라타키아와 타르투스에서만 1000명 이상이 사망했으며 이 중 700명 가량이 민간인이었다. 대부분 정부군의 공격으로 목숨을 잃었다는 설명이다.
또 다른 감시 단체인 시리아인권네트워크(SNHR)는 앞서 정부군이 최소 125명의 민간인을 살해했다고 보고했다. 이 단체는 "사망자 중 남성이 대부분이며, 정부군은 민간인과 전투원을 구별하지 않고 무차별적으로 공격했다"고 주장했다.
공격은 소수 종파인 알라위파가 모여 사는 해안가에 집중됐다. 아사드 전 대통령 일가를 비롯해 전 정부 시절 정부 고위직이 모두 알라위파 출신이어서 사실상 '보복 살인'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한편 알샤라 대통령은 이날 별도의 공식 연설에서 해안 지역에서 발생한 사태를 조사하고 책임자를 처벌할 사실조사위원회를 구성하겠다고 발표했다.
다만 정부군의 민간인 학살 가능성에 대해서는 명확한 입장을 내놓지 않았다. 그는 "이번 혼란의 책임이 누구에게 있는지는 모두가 알고 있다"고만 언급했다.
아사드 일가가 1971년 쿠데타 이후 53년간 독재해온 시리아에서는 2011년 반정부 시위에 이어 2013년 내전이 발발했다. 13년간 이어진 전쟁 끝에 지난해 12월 아사드가 해외로 도피했으며, 반군 리더였던 아흐메드 알샤라가 임시 대통령직을 수행 중이다.
alicemunro@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