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재무는 한·일과 협력 노리지만…"'미국 우선' 트럼프가 최대 장애물"
베선트 장관, 잇단 '중국 고립' 구상 발언…오바마 'TPP' 연상
블룸버그 "트럼프와 측근들, 미국 이익에만 매몰"
- 박우영 기자
(서울=뉴스1) 박우영 기자 =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은 한국·일본과 협력해 중국을 포위하는 '압박 전술'을 구상 중이지만 '미국 우선주의'를 표방하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그의 구상에 최대 걸림돌이 될 수 있다고 블룸버그통신이 1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블룸버그는 이날 뉴스레터에서 베선트 장관의 9일 발언을 집중 조명했다.
베선트 장관은 9일 언론과 만나 "한국·일본 등은 오래도록 좋은 군사적 우방이었지만 경제적 협력에 있어서는 완벽하지 않았다"며 "트럼프 행정부는 아마 그들과 합의할 수 있을 것이고, 그렇게 되면 우린 함께 중국에 접근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그는 이날 특히 한국·일본을 비롯해 베트남, 인도 등을 예시로 들었다. 미국이 이들 국가와 협력해 중국을 포위하는 중국 포위망(Grand Encirclement) 전략은 앞서 여러 차례 언급된 바 있다.
실제 버락 오바마 전 미국 행정부는 이들 국가와의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 체결로 중국을 소외시키고자 했다.
베선트 장관은 2월에도 미국이 캐나다·멕시코와 "쏟아져 들어오는" 중국산에 함께 대응하는 '북미 요새화' 전략을 제안한 바 있다. 최근 페드로 산체스 스페인 총리가 유럽연합(EU)이 중국 쪽으로 선회해야 한다고 주장하자 "그건 EU 스스로 목을 베는 행위"라며 섬뜩한 경고를 날리기도 했다.
블룸버그통신은 트럼프 대통령이 2017년 집권 직후 TPP에서 탈퇴한 점을 언급하며 베선트의 열망이 다름 아닌 그의 상사 트럼프 대통령에 의해 좌절될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블룸버그는 "트럼프의 '미국 우선주의' 이데올로기는 (우방을 포함한) 다른 국가들의 이익에 관심이 없다"며 지난 10월 대중국 전략에 있어 우방의 역할에 대한 질문을 받은 트럼프 대통령이 "우리 동맹국들이 적국보다도 우리를 더 이용해먹었다"고 비난한 점을 상기했다.
블룸버그는 더 나아가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 피터 나바로 백악관 고문 등 다른 대통령 측근들도 관세가 불러들일 현금 흐름에 정신이 팔려있다"며 "그들은 거시적인 경제지리학적 관점을 견지하지 않는다"고 평했다.
미국과의 '관세 전쟁'에 휘말린 중국이 적극적으로 영향력을 넓히고 있다는 점도 근거로 들었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오는 주 베트남을 방문할 예정이며, 인도네시아 정부에 파트너십 강화를 약속하는 등 미국의 USAID 원조 중단 등으로 소프트파워 공백이 발생한 틈을 타 인근 국가들에 먼저 손을 내밀고 있다.
블룸버그는 또 "한국·일본과 달리 베트남, 캄보디아 같은 국가들은 트럼프 행정부의 고관세에 맞서 제안할 만한 경제적 협상 카드가 많지 않다"며 "미국이 이러한 국가들과 어떤 거래를 할 수 있을지 두고봐야 한다"고 진단했다.
alicemunro@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