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파티카지노

"무디스 미국신용 강등 금융시장 영향 제한적…트럼프 정치 보복 위험"

WSJ "무디스 강등 이후 시장 혼란 예상 거의 없어"
FT "신평사 규제기관 증권거래위원회 독립성 의문"

신평사 무디스 로고. ⓒ 로이터=뉴스1

(서울=뉴스1) 신기림 기자 = 미국이 최고의 국가 신용등급을 모두 박탈당했지만 금융시장에 끼치는 영향보다 정치적 파장이 더 클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지난 16일 뉴욕 증시의 정규 거래가 끝난 직후 미국은 마지막 남은 최고 국가 신용등급을 상실했다. 무디스가 S&P, 피치에 이어 미국 국가신용을 최고에서 한 단계 낮춘 것이다.

이제 3대 국제 신용평가업체 S&P, 피치, 무디스는 모두 미국에 부여했던 최고(트리플A) 등급을 박탈했고 19일 금융시장이 정규거래를 시작하면 어떤 영향을 얼마나 끼칠지에 관심이 집중된다.

시장에 부담이 가해지며 셀아메리카(매도세)가 재개될 위험을 배제할 수 없지만 이번 무디스의 신용등급 강등이 시장 혼란을 촉발할 것이라고 예상하는 사람은 거의 없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전했다. WSJ은 "미국이 여전히 세계 최대 경제국이며 다른 국가를 평가하는 기준이 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미국의 신용등급 강등이 금융시장, 은행권, 백악관에 끼치는 영향을 살피는 전망 기사에서 금융 시장 영향력보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정치적 보복 위험을 주목했다.

은행들이 자본위험 가중치를 설정할 때 최고인 Aaa와 1단계 낮은 Aa1을 구분하지 않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미국의 신용 강등이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을 수 있다고 FT는 예상했다.

금융시장과 별개로 무디스의 미국 신용 강등 자체로 문제가 될 수 있다고 FT는 봤다. FT에 따르면 무디스의 강등 이후 S&P에서 국가신용 글로벌 최고평가책임자를 지냈던 모리츠 크래머는 링크드인 게시물에서 보복의 위험이 현실이라고 썼다.

미국에서 신평사는 증권거래위원회(SEC) 규제를 받는데 현재 미국 상황을 감안할 때 SEC가 백악관과 무관하게 독립적으로 행동할 수 있을지 의문이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무디스의 미국 신용 강등에 격분해 무디스에 보복 조치를 취할지도 모른다고 크래머는 예상했다.

또 미국의 최고신용을 가장 먼저 강등한 S&P의 경험을 비추어 볼 때 무디스가 정치적 보복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

S&P가 2011년 8월 미국신용을 3대 신평사들 가운데 처음으로 강등했고 뉴욕 증시는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대 낙폭을 그리며 추락했지만 비교적 빠르게 증시는 회복했다.

하지만 당시 미국 재무장관은 S&P의 강등 결정을 맹비난했고 영화감독 마이클 무어는 버락 오바마 당시 대통령에게 S&P 최고경영자(CEO) 체포를 촉구하기도 했다고 FT는 전했다. 또 강등 이후 법무부는 S&P 조사를 시작했고 몇 주 만에 CEO는 회사를 떠났다.

백악관 대변인 쿠시 데사이는 조 바이든 전 대통령의 행정부가 국가 부채를 늘렸다고 비난하고 무디스의 등급 강등시기를 문제 삼았다.

대변인은 "트럼프 행정부와 공화당은 바이든 전 대통령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며 "무디스가 조금이라도 신뢰성이 있었다면 지난 4년간의 재정 재앙이 펼쳐지는 동안 침묵을 지키지 않았을 것"이라고 말했다.

무디스는 미국의 신용 강등의 배경으로 막대한 정부 부채와 이자 상환비용 증가를 들었다. 무디스는 "10년 넘게 미국의 정부 부채와 이자 비중이 비슷한 신용등급의 국가들에 비해 훨씬 높아졌다"고 지적했다.

역대 미국 행정부와 의회는 대규모 연간 재정 적자와 증가하는 이자 비용 추세를 되돌릴 조치에 합의하지 못했다고 무디스는 설명했다.

shinkirim@dqdt.shop

바오슬롯 프리미어카지노 소닉카지노 산타카지노 토르카지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