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파티카지노

대만 국방부, 여성 의무복무제 검토 보도에 "아직 계획 없다"

대변인 "이미 군 인력의 12% 이상이 여성"
병력 규모 감소에 의무복무기간 확대 추세

2023년 11월23일 대만 타이중의 한 군사 기지에서 대만 군인들이 전투 기술을 선보이고 있다. 2023.11.23 ⓒ AFP=뉴스1 ⓒ News1 권영미 기자

(서울=뉴스1) 김예슬 기자 = 대만 국방부가 병력 부족에 따라 여성 의무복무제를 검토하고 있다는 보도에 "현재로서는 계획이 없다"고 일축했다.

25일(현지시간) 대만 중앙통신(CNA) 등에 따르면 쑨리팡 대만 국방부 대변인은 "여성 군 복무 문제에 대한 논의의 여지가 있지만 현재로서는 계획이 없다"고 말했다.

앞서 라이칭더 대만 총통이 군 병력 구조를 조정하기 위해 여성을 의무적으로 징집하는 것에 대한 연구를 요청했다는 대만 매체 보도가 나왔다.

이에 쑨 대변인은 "현재 국방부는 국가군 인력 전반 활용에 여성 인력을 활용할 수 있는 많은 채널을 제공하고 있다"며 "현재 여성은 전체 군 인력의 12% 이상, 13%에 가깝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대만 여성은 장교·부사관·모집병에 지원할 수 있고, 대만군 병력의 10~15%가 여성이다. 이들은 주로 각 군 전투 지원부대에서 근무하고 있으며, 잠수함·특수부대 등 일부 부대에서의 근무는 제한된다. 남군과 여군의 인사는 별도로 분리돼 관리되지 않으나, 해당 직책에 적합한 인원을 선발하기 위해 경우에 따라선 성별에 따른 우선순위가 부여된다.

대만군은 주로 지원병으로 구성된다. 지난해 6월 기준 지원병은 약 15만 명으로, 2018년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대만 정부는 저출산과 역내외 긴장감 등을 이유로 의무복무제를 확대해 나가고 있다. 대만군의 의무복무기간은 2년→1년→10개월→4개월→1년 순으로 변해 왔는데, 중국과의 관계가 좋았던 2008~2016년 의무복무기간이 크게 축소됐다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해 중국 또한 가까운 미래에 대만을 침공할 수 있다는 위기감이 커짐에 따라 올해 들어 의무복무기간이 1년으로 회귀했다.

지난해 기준 대만의 합계출산율은 0.86명으로 한국(0.72명)에 비해선 높지만, 마찬가지로 심각한 저출산 국가로 분류된다. 대만 국가발전위원회(NDC)는 2035년 대만 합계출산율을 1.12명으로 전망했다. NDC는 2035년 한국의 합계출산율을 1.18명으로 예상했는데, 대만의 인구 미래를 더 어둡게 내다본 셈이다.

이처럼 적정 병력을 유지할 수 없는 대만에선 재입대, 여성 의무복무제 등이 꾸준히 언급되고 있다.

yeseul@dqdt.shop

바오슬롯 프리미어카지노 소닉카지노 산타카지노 토르카지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