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황보준엽 기자 =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 조기 대선, 그리고 7월 시행되는 스트레스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3단계 규제과 부동산 시장을 흔들 주요 변수로 떠오르면서 수요자들의 매수 전략이 복잡해지고 있다.
1일 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한국은행은 5월 금융통화위원회를 열고 기준금리 인하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기준금리는 주택 구매 시 자금 조달과 직결되는 만큼 부동산 시장에서 주요 변수로 꼽힌다.
이번 회의에서도 금리가 동결될 경우 시장의 관망세는 지속될 가능성이 크다. 그러나 최근 경기 둔화로 금리 인하 기대감이 커지면서 대출 금리 하락이 가속화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이 경우 일부 수요자들이 다시 시장에 진입할 가능성도 있다.
이와 함께 7월엔 DSR 3단계 시행될 예정이으로 막차 수요까지 맞물리며 시장의 변동 가능성도 작지 않다.
DSR 3단계가 적용되면 연봉 1억 원인 차주가 변동금리 주택담보대출(30년 만기·분할 상환 조건)을 받을 경우 기존 2단계 기준에서는 최대 6억 400만 원까지는 가능했던 대출 한도가 3단계에서는 5억 5600만 원으로 줄어든다.
송승현 도시와경제 대표는 "모든 지역이 반응할 것이라고 보긴 어렵지만 대출 의존도가 높은 지역의 경우 수요가 회복될 것"이라며 "특히 DSR 시행으로 막차 수요가 몰리면 이들 지역의 수요가 집중될 수 있다"고 말했다.
윤수민 NH농협은행 All100자문센터 부동산 전문위원은 "기준금리 인하 여부는 대출금리 하락 신호로 작용할 수 있다"이라며 "또 DSR 시행 이전 막차 수요도 발생할 가능성이 큰 만큼 매수심리가 회복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다만 대선이 앞두고 정책 불확실성이 크다는 것이 변수로 작용한다. 이를테면 주택 관련 세제 또는 임대차법 폐지 등에 대해서 여야의 시각은 첨예하게 엇갈린다. 어느 정권이 들어서는지에 따라 부동산 정책이 크게 달라질 수 있는 셈이다.
전문가들은 본격적인 시장 반응은 대선 이후로 내다봤다. 윤수민 위원은 "대선은 수요자들의 의사결정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며 "박근혜 정부 시절에도 대선 이후 시장이 반응했던 점을 감안하면 이번에도 비슷하게 움직일 것"이라고 말했다.
서정렬 영산대 부동산학과 교수도 "정치는 주택 매수에 있어 많은 부분을 차지한다"며 "서울은 대선 전부터 서서히 움직이기 시작해 이후 본격화될 가능성이 크고, 지방은 서울의 흐름을 따라 대선 이후 반응할 것"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