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박은정 기자 = 우크라이나 특수부대가 러시아 쿠르스크 전선에 배치한 북한제 장거리 방사포를 파괴하는데 성공했습니다. KN-09 방사포가 파괴된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우크라이나 군사전문매체는 미국산 하이마스(HIMARS)를 동원한 우크라이나군의 정밀타격에 북한제 신형 (MLRS)가 파괴되는 영상을 공개했는데요.
우크라이나군이 쿠르스크 지역을 향해 발사한 정밀유도탄(GMLRS)은 북한군의 KN-09 발사대에서 불과 몇 미터 주변에 떨어져 폭발했는데요. 폭발 당시 발생한 유도탄의 파편을 맞은 KN-09는 연쇄폭발 작용을 일으키며 완전히 파괴되는 모습입니다.
러시아군은 지난달 우크라이나 전선에 북한제 M-1991 운용도 시작했죠. 최근 공개된 또 다른 영상에는 최대 사거리 60km, 구경 240mm인 북한제 M1991 MLRS가 발사되는 장면이 처음 포착되기도 했습니다.
합동참모본부는 북한이 러시아에 미사일과 포병 장비, 탄약 지원을 계속해서 이어가고 있다고 보고 있는데요. 군 당국은 북한이 최근 단거리 탄도미사일 ‘KN-25’도 러시아에 이미 제공했을 가능성을 시사했습니다.
#하이마스 #북한러시아 #우크라이나
우크라이나 군사전문매체는 미국산 하이마스(HIMARS)를 동원한 우크라이나군의 정밀타격에 북한제 신형 (MLRS)가 파괴되는 영상을 공개했는데요.
우크라이나군이 쿠르스크 지역을 향해 발사한 정밀유도탄(GMLRS)은 북한군의 KN-09 발사대에서 불과 몇 미터 주변에 떨어져 폭발했는데요. 폭발 당시 발생한 유도탄의 파편을 맞은 KN-09는 연쇄폭발 작용을 일으키며 완전히 파괴되는 모습입니다.
러시아군은 지난달 우크라이나 전선에 북한제 M-1991 운용도 시작했죠. 최근 공개된 또 다른 영상에는 최대 사거리 60km, 구경 240mm인 북한제 M1991 MLRS가 발사되는 장면이 처음 포착되기도 했습니다.
합동참모본부는 북한이 러시아에 미사일과 포병 장비, 탄약 지원을 계속해서 이어가고 있다고 보고 있는데요. 군 당국은 북한이 최근 단거리 탄도미사일 ‘KN-25’도 러시아에 이미 제공했을 가능성을 시사했습니다.
#하이마스 #북한러시아 #우크라이나